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질
알맹이
실재
진수
정수
근본
내용
뉴스
"
실체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염병 시대 우리말](하)한국만 쓰는 코로나19, 선택이 맞았나
2021.08.30
불리는 코로나19가 전세계에서 맹위를 지금도 떨치고 있는 상황에서도 각국은 지금도
실체
규명과 함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통해 과학적 성과들을 일구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 지식들은 현장의 의사와 방역당국, 제약기업들 사이에 공유되고, 일부는 위기를 지혜롭게 넘기기 위한 정책 결정을 ... ...
[전문용어 시대의 우리말](상)어려운 말 고집하는 전문가들
2021.08.23
정부나 과학계는 어느 때보다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으며 정체 불명의 감염병의
실체
와 대처법 찾기에 나섰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새로운 과학 기술 의학 분야의 전문 용어가 대중에게 노출됐고 새로운 개념의 방역 용어도 등장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신조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가장 유명한 성공사례를 꼽으라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것이다. 유전물질의
실체
인 DNA의 분자적인 구조는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규명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들이 이중나선이라는 결과를 얻는 데에는 X선을 이용해 DNA의 내부구조를 찍었던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여전히 과학기술 분야에서 논문 조작은 내부 고발이나 누군가의 제보를 통해서만 그
실체
를 드러낸다. 얼마나 많은 과학기술 분야의 논문이 조작되었는지 아무도 정확하게 짐작하지 못한다. 하지만 게재된 논문의 철회를 감시하는 사이트인 '리트랙션워치'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논문이 게제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이전과 이후로 나뉠 정도로 게놈 정보는 고인류학을 혁신시켰다. 그리고 요즘은 화석의
실체
를 밝힐 때 형태의 차이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 조심하고 있다. 처한 환경에 따라 특정 형질의 진화 속도가 다르고 같은 종이라도 개체 사이의 차이가 꽤 크기 때문이다. 화석을 손상시킬 수 없다는 ... ...
20세기 휩쓴 세 번의 '팬데믹'과 '인포데믹' 역사
연합뉴스
l
2021.07.06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계한다. 이와 관련해 저자는 과학에 근거해 코로나 바이러스의
실체
를 들려주고, 화이자·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얀센 등 백신의 원리와 장단점도 설명해준다. 바이오스펙테이터. 368쪽. 2만5천원. 연합뉴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12월 학술지 ‘네이처’에는 범게놈 접근 방식으로 밀에서 병충해 저항성 유전자의
실체
를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모기와 친척인 깔다구의 한 종은 밀의 이삭에 알을 낳는데, 깨어난 유충이 여물고 있는 밀알을 먹으면서 큰 피해를 입힌다. 그런데 몇몇 품종은 이 해충에 저항성을 보인다. 15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데이터 분석과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하는 코로나19 확산
2021.06.30
경제적‧사회적 어려움을 겪었다. 미지의 바이러스가 나타나면 과학자들은 그 구조와
실체
를 분석한다. 바이러스 유전정보 규명이 대표적인 예다. 이를 토대로 제약회사들은 바이러스에 대처할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한다. 이렇게 바이러스를 제압할 무기를 만드는 동안, 방역은 국민을 보호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그렇다면 ENF는 상처의 어떤 신호를 감지해 성격이 바뀌는 걸까. 추가 연구 결과 신호의
실체
는 물리적인 힘이었다. 상처로 인해 세포들끼리 서로 당기는 힘이 커지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인 YAP 경로가 켜지고 그 결과 ENF의 잠자고 있던 En1이 활성화되며 EPF의 성격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진피가 ... ...
[주말N수학]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 시인 함기석
수학동아
l
2021.06.19
경험에서 재미를 느낄 때도 작품을 쓰고 싶다는 마음이 생깁니다. 눈으로 볼 수 있고
실체
가 있는 직간접적인 경험과는 다르게,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가 영감을 줄 때도 있어요. 꿈이나 기억처럼 현실에 없는 것들이 바로 그런 거죠. 이렇게 보이지 않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는 눈에 보이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