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질
알맹이
실재
진수
정수
근본
내용
뉴스
"
실체
"(으)로 총 37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컬럼비아매머드의 게놈과 비교한 결과 지금까지 진화과정이 미스터리였던 이들의
실체
를 밝힐 수 있었다. 매머드는 150만 년 전 당시 육지로 연결된 베링해를 건너 처음 북미에 진출했다. 첫 번째 가설은 이 주인공이 남부매머드이고 시베리아와 독자적으로 진화해 컬럼비아매머드가 됐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록펠러대 마이클 영 교수팀이 독립적으로 Per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그
실체
를 밝혔다. 그 뒤 다른 생체시계 유전자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핵심부품이 규명됐다. 그 결과 2017년 홀과 로스바쉬, 영은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참고로 벤저는 2007년, 코놉카는 2015년 사망했다. 지난 50년 동안 ... ...
“돌연변이로 항원성 바뀌면 백신도 소용 없어”…변이 바이러스의
실체
를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국내 ABL3 연구시설, 고려대 의대 생물안전센터 박만성 교수 “돌연변이가 바이러스 항원성 바꿔” 1년간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만 수천 건 기자가 직접 레벨D 방호복을 착용하고 동물이용 생물안전 3등급(ABL3) 연구시설 내 실험을 시뮬레이션했다. 실험 장치는 바이러스의 공기 중 전파를 시험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과의 비교가 내 삶을 괴롭힐 때 ‘선 긋기’
2021.01.23
불필요한 불행을 얹히지 말자’다. 비교가 대표적인 예다. 내가 내 머리 속에서 만든
실체
가 없고 따라서 겪을 필요도 없는 불행인 셈이다. 물론 비교를 통해 자극받을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 하지만 삶에 실제적인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지금 이 생각은 ‘똥 같은 것’이라며 분명히 선을 ... ...
코로나 1년, 과학자들이 그 누구보다 빨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환자의 사례를 공개하며 면역력의 지속 여부가 중요한 문제가 됐다. 코로나19도 점차
실체
를 드러냈다. 2월 11일에는 우한 병원의 코로나19 환자들을 분석한 첫 증상 보고서가 국제학술지 ‘랜싯’에 발표됐다. 호흡기 증상이 주로 확인된 이 병에 걸린 환자의 흉부 엑스레이는 환자의 폐는 부옇게 ... ...
UFO
실체
밝혀질까…미 정보기관 6개월 내 의회와 정보 공유해야
연합뉴스
l
2021.01.11
2021 회계연도 정보수권법안에 해당 규정 포함 [게티이미지뱅크.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정보기관들은 앞으로 6개월 이내에 UFO(미확인비행물체)에 관한 정보를 의회와 공유해야 한다. CNN 방송은 10일(현지시간) 앞으로 180일 내에 국가정보국장과 국방장관이 의회 정보위원회와 군사위원회에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청주동물원의 불청객 붉은여우 구출작전
2021.01.09
현재는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최근 여우의
실체
가 확인된 것은 2004년 3월 강원도 양구지역에서 여우 사체가 발견된 것이다. 이외에 소수의 여우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나, 정확한 서식 현황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현재 국립공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분자도 나선형이 아닐까 라고 자연스럽게 유추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전물질의
실체
로 지목된 DNA의 구조는 당연히 과학자들의 ‘힙한’ 아이템이었다. 실제로 폴링은 코리와 함께 1953년 1월 DNA가 삼중 나선구조임을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폴링은 논문의 사본 한 편을 당시 캐번디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그저 “멍청한 분자”일 뿐이어서, 에이버리의 실험결과에도 불구하고 DNA를 유전물질의
실체
로 받아들이지 않는 과학자들도 꽤 있었다. 그러나 후속연구들은 점점 DNA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 대장균 세포 표면을 덮고 있는 박테리오파지 T1의 모습을 담은 전자현미경 사진. 위키피디아 제공 특히 ... ...
[인간 행동의 진화]개는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되었나
2020.12.20
누가 먼저 사랑에 빠졌는지에 관해 종종 자존심 싸움을 벌이는 커플도 있지만,
실체
는 대개 이렇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다. 개와 인간의 만남도 그랬다. 4만 년 전, ‘이제 개라도 한 마리 키울까? 늑대를 먼저 길들여서 개로 만들어야지’라고 생각한 원시인은 없었다. 회색늑대도 마찬가지다. ‘더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