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축 '고급' 사료만 바꿔도 10억 인구 식량난 해결
연합뉴스
l
2022.09.20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푸드'(Nature Food)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육지
와 바다를 망라한 세계 식량 생산 시스템에서 식량과 사료는 물론 식량 생산 과정에서나오는 부산물과 찌꺼기 흐름까지 상세하게 추적했다. 그 결과, 곡물 생산량의 약 3분의 1이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 ...
남극 빙붕 녹이는 바닷 속 소용돌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바다에 떠 있는 200~900m 두께의 거대한 얼음 덩어리다. 빙하가 바다에 빠지는 것을 막는다.
육지
의 빙하가 바다로 빠지면 빙하가 녹으며 해수면 수위를 높인다. 가령 남극 빙하가 전부 녹으면 지구 해수면이 약 58m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까지 잠길 수 있는 높이다. 과학자들은 빙붕 붕괴를 ... ...
물에 떠서 청정에너지 만드는 '인공 이파리' 개발
연합뉴스
l
2022.08.22
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즈너 교수는 "태양력을 비롯한 다른 대체 에너지는
육지
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면서 "인공 이파리는 물 위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에너지와 경쟁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론적으로는 이 장치는 둘둘 말아서 보관할 수도 ... ...
사장교 케이블 결함 살피는 전자기장 청진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분해하지 않고도 손상을 사전에 감지하는 새로운 검사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육지
와 섬을 잇거나 만을 가로지르는 장대 교량들은 대부분 사장교처럼 주탑과 주탑사이 케이블이 지지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주탑과 주탑 사이 거리가 300~800m이를 정도로 멀어 그만큼 교량을 지지하는 케이블 ... ...
[표지로 읽는 과학]2022년 1월 통가 화산 폭발이 과학에 남긴 숙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7.03
폭발 직후 발생한 쓰나미(지진해일)가 직접적인 지각활동에서 발생한 결과가 아니어서
육지
를 가로질러 거의 모든 지구의 주요 해양 분지로 이동한 현상도 포착했다. 연구팀은 지구 초저주파와 전리층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 방재과학연구소 연구팀은 퉁가 화산 쓰나미가 기존 쓰나미보다 ... ...
우리나라 해안선 1만5천257.8㎞…작년보다 23.9㎞ 줄어
연합뉴스
l
2022.06.09
우리나라 해안선 길이가 1만5천257.8㎞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해안선은 바다와
육지
를 나누는 경계로 국토 형상을 정의하는 기초 자료다. 해양조사원은 2001년부터 해안선에 대한 항공·위성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과학적인 조사를 하고 그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우리나라 해안선은 ... ...
[프리미엄 리포트] 우크라이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22.06.04
이번 전쟁 전부터 우주는 안보에 중요했다. 미국 국방부는 전통적인 전장으로 꼽히는
육지
와 해상, 공중을 넘어서 우주를 제4의 전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물론 당분간 적극적인 우주의 전장화는 어려울 전망이다. 유엔은 1963년 우주법, 1967년 우주조약, 1979년 달협약 등을 선언하며 ‘우주의 평화적 ... ...
역대 최장이라더니 이듬해 '찔끔'… 여름 장마 매년 예측불허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최근 장마특이기상연구센터에서는 2020년 장마가 굉장히 길고 강수량이 많았던 건
육지
와 해양의 성질을 모두 가진 인도양의 대류가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라는 분석결과를 내기도 했다. 장 교수는 “인도양 대류뿐 아니라 북대서양 진동 패턴, 엘니뇨, 북극 기상, 서태평양 온도 등 다양한 ... ...
시베리아 툰드라 아예 사라질 위기…'최선' 다해도 30%만 남아
연합뉴스
l
2022.05.30
헤르츠슈 교수는 "현재와 미래의 온난화로 북극해와 바다얼음이 심각한 영향을 받지만
육지
환경도 극적으로 바뀔 것"이라면서 "이미 시작된 수목한계선의 북상이 급속히 빨라지며 시베리아와 북미의 방대한 툰드라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에바 클레벨스베르크는 "결국 ... ...
한국 쇄빙선 아라온호가 포착한 통가 화산 폭발 후 3D 지형도…화산 형태 그대로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5.25
연구결과를 23일 발표하기도 했다. 훙가 통가-훙가 하파이 화산이 폭발한 이후
육지
였던 홍가 통가 섬이 바다가 됐다. 이 지역에서는 갯지렁이류 등 생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은 남극 항해를 마치고 국내로 귀환 중이던 아라온호를 통가 화산폭발 현장에 투입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