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미생물, 햇빛 없이 살아남는 이유는 '수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확인한 연구결과를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했다.
육지
미생물은 대기 중 수소를 섭취하며 살아간다. 앞서 학계는 해양 미생물 또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추정했지만 실제로 수소를 소비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심해 미생물이 어떤 연료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생물에 공통된 근본적인 반응 가운데 여럿이 망간이나 아연을 필요로 한다.
육지
에서 등장한 생물은 세포막을 정교하게 진화시키면서 점차 세포질과 용액 조성이 다른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었고 결국에는 바다에서도 살 수 있게 됐다. 세포막을 보면 상황에 따라 특정 이온을 통과시키는 다양한 ... ...
겨울축제 중단케 한 '이상기온' 원인은 결국 '인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북극권의 영구동토층이 녹는 현상은 기후변화 학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태 중 하나다. 땅 속 얼음에 갇혀 있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방출돼 기후변화 ... 모든 과학자들은 현재 기후 변화의 원인에 동의한다”며 “인간의 영향이 대기와 바다,
육지
를 데웠다는 것은 명백하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내장 훤히 보이는 유리개구리의 은신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2.25
눈을 피한다. 해양 생태계에는 피부색을 투명하게 만드는 생물이 간혹 있지만
육지
에서는 아주 드문 경우다. 혈관 속 붉은색을 띠는 적혈구가 가득 차 있어 투명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리개구리는 몸을 투명하게 만들고 싶을 때 혈액 속 대부분의 적혈구를 제거해 간에 저장하는 것으로 ... ...
"
육지
·바다 30% 보호"…생물다양성 논하는 COP15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훼손된
육지
및 해양생태계를 최소 30% 복원한다는 실천목표가 채택됐다. 2020년 기준
육지
의 15%와 바다의 7.5%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는데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가 정해진 셈이다. 이번 ... ...
1조5000억원 들여 지구 물 시스템의 맥박 짚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상승한 해수면에 따른 해안선 변화를 관측해 폭풍, 해일, 홍수 등 기상현상이
육지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또 바다가 대기열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방출하는 과정도 조사한다. 위성으로 하늘에서 관측하기 때문에 이번 조사로 전 세계 해안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 ...
2023년 첫 해는 서울서 7시 47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경북 경주시 문무대왕릉 뒤쪽으로 해가 뜨고 있다. 경주시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은 2023년 새해 1월 1일 첫 해는 아침 7시 26분 독도에서 가장 ...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17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고
육지
에서는 진도 세방낙조에서 17시 35분까지 볼 수 있다. ... ...
12년 만에 생물다양성 회의…2030년까지 바다의 30% 보호구역 지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정부를 포함해 전 세계 100여 개국이 이 목표에 공식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육지
의 15%와 바다의 7.5%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지만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열대우림 보존, 침입종의 확산 방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북이를 닮은 수륙양용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2.10.15
반면 아트는 환경에 맞게 모양과 강도, 동작을 바꿀 수 있는 다리를 가지고 있다.
육지
에서는 다리가 거북이의 몸통을 단단히 받치고 있다가 물속에 들어가면 납작한 지느러미 형태로 변해 유연하게 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는 형태적응 전략이 적용돼 있다. 연구팀은 상황에 따라 형태와 ... ...
남극 대륙 가장자리 얼음 녹이는 과정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27일 밝혔다. 관련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빙권’ 9월호에 게재됐다. 빙붕은
육지
에 있던 빙하가 바다로 흘러간 뒤에도 떨어지지 않고 빙하와 이어져 있는 수백 미터 두께의 얼음덩어리를 의미한다. 남극의 빙하가 전부 바다에 빠질 경우 지구의 해수면은 58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빙붕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