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뉴스
"
자손
"(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의 기원은 우리를 겸허하게 만들어”
과학동아
l
2019.09.29
다른 형질을 가지고(변이), 그중 나뭇잎과 유사한 등판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이 살아남아
자손
을 남긴다면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고 말이다. 진화론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흔히 어떤 종의 진화 과정을 그릴 때 직선으로 그리는 경우가 많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호모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가진 개체가 다른 개체들에 비해 환경에 더 적합하다. 넷째, 그 형질 중 적어도 일부는
자손
에게 전달된다. 이 네 가지 조건들이 만족되면, 그리고 오직 그럴 경우에만, 어떤 개체군 내 특정 형질의 빈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게 된다. 상당한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종도 생겨나게 될 것이다. 이것이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수컷 모기에 삽입한다. 이 뉴클레이스는 수컷 정자의 X 염색체를 망가뜨려, 암컷
자손
을 낳지 못하도록 만든다. 또한 이 개체가 낳은 수컷 역시 뉴클레이스 유전자를 물려받아 암컷을 낳지 못한다. 그 결과 집단 내 암컷이 점점 줄어든다. 2. 암컷 모기의 생식과 관련된 핵심 유전자를 망가뜨려 ... ...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08.07
키운 제왕나비와 야생에서 포획한 제왕나비를 야외 사육장에서 번식시킨 뒤, 그
자손
들을 여름과 가을의 환경을 모방한 실내 사육장에서 키워 이주 행동을 살폈다. 그 결과 실내에서 자란 제왕나비는 남쪽으로 이주하지 못한 채 번식기를 맞았다. 이는 상업적으로 사육된 제왕나비뿐만 아니라 방학 ... ...
현대 수학은 24명의 '스승'에게서 나왔다
수학동아
l
2019.05.15
재미있는 점은 이들이 모두 수학자는 아니라는 사실이다. 5만6387명으로 수학자
자손
을 가장 많이 보유한 폴카스트로는 심지어 의사였다. 이처럼 MGP를 조사하면 본인이 수학자가 아님에도 훌륭한 수학자의 탄생에 영향을 준 사람, 유명한 수학자였음에도 다른 학문에 영향을 준 사람을 찾을 수 ... ...
치매 원인 뇌 속 미세아교세포 실시간 관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방법은 형질전환생쥐를 이용하는 것뿐이었다. 형질전환은 생물의 유전자를 조작해
자손
에게 다른 성질이 유전되도록 하는 기법이다. 미세아교세포 관찰에는 유전자조작으로 미세아교세포가 형광단백질을 만들게 해 눈에 보이도록 하는 방식이 쓰였다. 하지만 시간과 비용이 필요할 뿐 아니라 임상 ... ...
SF까지 넘보는 대륙의 힘 '유랑지구'
2019.05.04
우주선이 필요합니다. 우주선 안에서 생활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우주선 안에서 살면서
자손
을 낳고 대를 이어가는 ‘세대 우주선’ 방식이 있지만 쉽지 않습니다. 수십~수백 세대에 걸쳐 사회가 목적의식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굴러갈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이게 가능하다고 해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것보다 타격이 적다는 것이다. 그리고 살아남은 개체는 경쟁이 덜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손
을 봐 줄어든 수를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다. 한편 식물과 수분 곤충처럼 의존 관계에 있는 종들 대다수도 특정 파트너를 고집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꿩 대신 닭’ 전략으로 위기를 넘긴다. 그럼에도 ... ...
“에이즈 완치 낙관 일러... 백신개발 통한 예방이 우선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학자들의 평가다. 물론 HIV에 감염된 사람은 체액을 통해 바이러스를 전파할 위험이 있고,
자손
에게도 물려주게 돼 치료제와 예방 백신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HIV 감염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3700만 명에 이른다. 백신 개발에 투입되는 자금의 규모는 결핵, 말라리아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동물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아마 좀처럼 사랑에 빠지지 못하는 개체는
자손
을 남기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감정은 생존 뿐 아니라 번식적 이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물론 너무 쉽게 사랑에 빠지는 ‘금사빠’는 곤란합니다. 번식적 이득보다 ‘사랑에 속아’ 손해를 보는 일이 적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