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뉴스
"
자손
"(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그 뒤 이 4배체 딸기가 유라시아에 자생하는 2배체 딸기인 F. viridis와 만나 6배체
자손
인 사향딸기(F. moschata)가 나왔다. 6배체 딸기는 당시는 육지로 연결된 베링해를 건너 북미에 자생하는 숲딸기를 만났고 여기서 8배체 딸기가 나왔다. 이게 100만 년도 더 된 시절의 일이다. 숲딸기는 유라시아와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순수한 데니소바인 화석은 4개체에 불과하다. 그나마 데니소바인 또는 데니소바인 직계
자손
화석은 모두 콩알 만한 손가락뼛조각(위 사진)이나 치아, 어른 손가락 한 마디 반 크기의 팔 또는 다리뼈 등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은 전혀 짐작할 수 없었다. 그래서 데니소바인은 화석 속에 ... ...
“잊혀진 우리 괴물 ‘강철’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말했다. 실제로 그의 작품 속 인물이 ‘한국괴물백과’에 보인다. 사람과 용의
자손
으로 몸 어딘가에 비늘이 있다는 ‘용손’이라는 괴물은, 그가 2017년 4월 ‘과학동아’에 발표했던 단편 ‘이상한 용손 이야기’에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곽 작가는 괴물 자료를 모으고 사전을 펴낸 유일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저출산의 미스터리
2019.01.20
자원 축적을 추구하는 심리적 경향 때문이라는 가설, 문화적 성취를 추구하려는 경향이
자손
의 숫자를 늘리려는 생물학적 경향과 충돌한다는 가설, 핵가족화로 인해 확장 가족의 양육 도움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입니다. 다들 일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가설에 대해서는 마땅히 할 수 ... ...
성가신 모기 ‘산아제한’으로 퇴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만약
자손
이 암컷이면 죽고 수컷이면 살되 불임으로 태어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자손
은 100% 불임 수컷만 태어나게 하는 기술을 완성했다. 기존에도 해충을 없애기 위해 수컷에게 방사선을 쬐이는 등으로 불임을 유도했는데,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정밀도를 높였다. 악바리 교수는 “유전자 ... ...
재개발에 내몰린 한국판 메이커스 운동의 성지 청계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한국 산업의 초석이 된 곳”이라며 “이 거리를 문화유산으로 후대에 물려줘 미래
자손
들에게 교육 자료로 남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곳에서 60년간 대를 이어 공장을 운영한 김학률 신아주물 대표는 “쇳물의 냄새로, 색깔로 하나하나를 가지고 작업하는 장인들이 모여있는 곳”이라며 “다른 ... ...
갈라파고스 핀타섬 마지막 코끼리거북 '외로운 조지', 장수비밀 밝힐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헝가리 과학자에 의해 발견된 이후 사육장에서 자라다 2012년 6월 숨을 거뒀다. 조지는
자손
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 거북 아종은 공식 멸종됐다. 조지는 인근 울프 화산 출신인 근연종 암컷과 15년간 한 울타리 안에서 살며 짝짓기까지는 성공했으나 암컷이 낳은 알들은 모두 무정란으로 ... ...
무더위 때문에… 번식력 떨어진 수컷 곤충
과학동아
l
2018.11.30
“고온으로 인해 정자의 수뿐만 아니라 활동성까지 떨어졌다”며 “번식에 성공해도
자손
의 수명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467-018-07273-z ... ...
기후변화가 남성 불임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수 뿐 아니라 활동성도 떨어져 사실상 불임이 됐다”며 “번식에 성공하더라도 그
자손
의 수명이 크게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상이 비단 곤충의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도 나온다. 논문제 1저자인 키리스 세일즈 연구원은 “생물 다양성의 25%를 차지하는 곤충의 생존이 ... ...
붉은불개미 살충제 살포 해결책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살포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왕개미가 있더라고 군체를 이뤄 생식능력이 있는
자손
을 생산하기까지 수 개월 이상 걸리기 때문에 대응할 시간이 충분히 있다는 것이다. 이날 오전 조사와 먹이트랩 설치 과정에선 붉은불개미가 발견되지 않았다. 설치한 먹이트랩은 한 나절이나 하루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