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충
정액
휴게소
발코니
씨
씨앗
종자
뉴스
"
정자
"(으)로 총 33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07.03
유사체 배반포는 포유류의 초기 발생 과정에서 난할이 끝난 상태를 말한다. 난자가
정자
에 들어와 수정란이 만들어지면 체세포 분열을 통해 세포가 2의 제곱수로 분열한다. 수정 뒤 약 4일이 지나면 16~32세포기에 이른다. 이때 세포는 마치 뽕나무 열매(상실)처럼 모이게 된다. 이를 상실배라고 ... ...
우주정거장 방사선에 장기간 노출된 쥐
정자
서 정상 새끼 태어나
연합뉴스
l
2021.06.14
동물보다는 생식세포 형태로 이송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이
정자
에 국한됐으며 냉동 난자와 수정된 배아에 대한 우주 방사선의 영향 등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남녀 성비 1:1 유지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유전자를 편집한 수컷 생쥐에서
정자
를 조사했다. 테쉴 발현이 억제된 수컷 생쥐의
정자
는 머리 형태가 비정상적이었다. 또 이 수컷 생쥐를 암컷 생쥐와 교배해 태어난 새끼의 암수 비율은 1 대 0.614로 수컷이 현저히 적었다. 연구진은 정상 생쥐와 테쉴이 결핍된 생쥐의 유전자를 해독해 비교한 ... ...
지구 식생 4000년전부터 급격히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식물의
정자
를 품고 있다가 암술에 닿으면 꽃가루관을 내밀어
정자
를 넘긴다. 꽃가루는
정자
를 품고 있어 외부 세포벽은 매우 단단한 편이다. 세포벽은 스포로폴레닌이라는 단단한 단백질로 쌓여 있어 황산에도 녹지 않고 고온고압 상태에서도 수 만년 보존된다. 꽃가루는 크기가 지름 10 ... ...
[표지로 읽는 과학] Y 염색체 없는 들쥐는 어떻게 수컷을 결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5.09
가지고 있었지만 하나는 X도, Y도 없어 성별이 아예 없더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수컷의
정자
에는 남성을 결정하는 성염색체가 전혀 없었다. 그렇다면 이 들쥐는 어떻게 수컷과 암컷을 구분하는 것일까. 50년이 넘도록 이 들쥐가 XY 염색체 시스템을 따르지 않고도 어떻게 성 정체성을 획득하는지는 ... ...
35년 전 체르노빌 원전사고 겪은 피해자들, 대물림 피폭 흔적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결과 자녀에게서 방사선 노출로 발생한 돌연변이가 유전된 흔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정자
와 난자에서 발생해 자녀에게 유전되는 반면 부모에게선 발견되지 않는 유전적 변이인 ‘드 노보(de novo) 돌연변이’를 살폈다. 드 노보는 라틴어로 ‘새로운’이라는 뜻이다. 분석결과 자녀에게서 관찰된 드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인간 배반포 유사체’ 연구가 선정됐다. 네이처 제공 사람의 생식세포인 난자와
정자
가 만나면 수정란이 만들어진다. 수정란은 자궁에 착상하기 전 약 수 백개의 세포로 분열해 공 모양의 세포 덩어리인 '배반포'가 된다. 배반포는 신체를 구성하는 각종 세포로 분화하는 일종의 '씨앗'이므로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
2021.03.20
이러한 장소가 정신적인 치유를 이끈다고 했다. 그러고보니 우리 조상이 좋아하던
정자
가 주로 이런 곳에 지어졌다. 회복을 위한 환경은 다음의 특징이 있어야 한다. 일단 매혹적이어야 한다. 관심을 끄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비밀의 정원이다(Fascination). 좀 낯설고 떨어진 장소여야 한다. ... ...
실험실에서 '배반포' 길러냈다…불임·발달과정 질환 연구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자궁에 착상하기 전 단계인 배반포와 유사한 조직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사람의 난자와
정자
가 만나 수정란이 되면 세포분열을 일으켜 약 4,5일 뒤 공 모양의 배반포가 되는데 이는 나중에 혈액, 신경, 뼈 등 몸을 구성하는 220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세포들로 알아서 발달한다. 전문가들은 사람의 ... ...
[인사]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KAIST △교학부총장 겸 학장 겸 글로벌리더십센터장 이승섭 △연구부총장 이상엽 △대외부총장 김보원 △산학협력자문역 김정호 △자연과학대학장 조용훈 △생명과학 ... 방진섭 △행정부장 겸 행정발전교육센터장 정선태 △총장실장 송대광 △교무팀장
정자
호 (이상 3월 1일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