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충
정액
휴게소
발코니
씨
씨앗
종자
뉴스
"
정자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하지만 생식세포 곧
정자
나 난자세포에 침투해 다음 세대로 유전됐다. 과학자들은 오랜 기간 이 잔재물을 ‘정크 디엔에이’라며 쓸모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추옹 연구팀은 잔재물 일부는 진화적 이득을 얻기 위해 포유류 숙주에 포섭돼 ... ...
코로나19, 남성 생식 기능에도 영향(?)
연합뉴스
l
2020.10.07
열이 나면
정자
를 만들기가 어려워진다고 그들은 지적했다. 문제는 이렇게 손상된
정자
의 기능이 영구적인 것이냐 아니면 나중에 회복되느냐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같은 환자를 6개월과 1년 후 재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신과 불임'(Fertility and ... ...
[화보+]가장 오래된
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방식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진화론적 관점에서 대형
정자
또한 종을 보존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전략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마츠케-카라츠 교수는 “이 방식이 종을 장기간 유지하고 생존할 수 있는 전략임이 확인된 것”이라고 말했다. 화석에서 발견된 ... ...
"기초연구 주도권 잡을 기회 놓쳤다" '방역선진국' 한국 기초연구에선 목소리 못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비영리의학연구소 잭슨연구소는 2007년 개발된 코로나19 감염 유전자변형마우스의
정자
와 배아를 냉동보관하고 있다. 최근 이 연구소는 이 마우스를 증식해 코로나19 실험을 위해 공급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잭슨연구소 제공 이달 20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국내 첫 환자가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BioRxiv)’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심장질환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를 가진
정자
로 만든 배아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교정할 경우 돌연변이가 포함된 염색체의 상당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징후를 발견했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상당수의 염색체가 유실되거나 섞일 수 있다는 ... ...
일본, 배아줄기세포 이용 희귀 간 질환 치료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지난해 10월 실시했다고 이달 21일 밝혔다. 배아줄기세포는
정자
와 난자가 수정된 뒤 만들어진 배아 배반포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로 어떤 장기나 조직으로도 성장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재생이 불가능한 조직이나 기관에 새 세포를 증식시키는 재생의학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직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정액 속에서 열심히 헤엄치고 다니는
정자
를 봤음은 물론이다. 안톤 판 레이우엔훅 (1632~1723). 오른쪽은 그가 만든 현미경. 위키피디아 제공 레이후엔훅의 가장 위대한 성과는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1670년대 어느 날 우연히 빗방울을 현미경으로 ... ...
"국내 기술로 코로나19 영장류 실험 모델 개발 완료...이번주 첫 치료제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0.05.08
ACE2를 지니는 마우스를 개발하면서 감염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 쥐의 배아와
정자
를 보관하던 미국의 의학연구소인 잭슨연구소는 최근 이 유전자변형마우스를 다시 발굴해 인공수정을 통해 생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이 치료제와 백신 개발의 전임상시험을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방명걸·윤대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말했다. 방 교수는 남성 불임증의 원인을 유전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정자
의 염색체 수와 구조적 이상에 의한 불임의 원인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았다. 방 교수는 수컷 동물의 번식능력을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의학학술지 랜싯에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윤 교수는 식물이 외부 환경에 ... ...
쥐도, 햄스터도, 영장류도 나섰다…코로나19 해결 나선 실험동물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5
ACE2를 지니는 마우스를 개발했다. 하지만 사스 사태가 끝난 뒤 이 쥐는 잊혀졌고, 쥐의
정자
만 보관돼 있다 현재는 미국의 비영리의학연구소인 잭슨연구소가 이 유전자변형마우스를 생산하고 있다. 잭슨연구소는 코로나19를 연구하는 전세계 연구실과 기업으로부터 이미 수천 마리의 마우스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