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빛
녹색
남빛
블루
푸른색
하늘색
남색
뉴스
"
청색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전자
청색
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교수는 “QLED 소재 개발이 학문적으로 많이 이뤄지는 가운데서도
청색
소재 개발이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고효율 LED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이론효율에 도달한다는 것은 첫 단계로 얼마나 오랜 시간 구동했을때도 효율이 ... ...
코로나19 중증 환자, B세포 항체 정보 뒤죽박죽된다
연합뉴스
l
2020.10.12
저널 '셀(Cell)'에 발표했다. 배양 세포 표면에서 나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청색
)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미 NIAID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배중심(또는 종자중심)은 분화한 림프구가 둥글게 모여 있는 림프 조직의 한 영역을 말한다. 정상이라면 항체 합성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백색왜성이 된다. 이보다 가볍고 수명이 아주 긴 별인 적색왜성은 수소를 다 태운 뒤
청색
왜성을 거쳐 백색왜성이 될 것으로 추측된다. NASA 제공 백색왜성이 막 모습을 드러냈을 때 표면 온도는 10만K에 이르지만 수백억 년에 걸쳐 서서히 식어 결국은 빛을 내지 않는 차가운 흑색왜성이 된다. 따라서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온난화실험으로 계산한 인간활동에 의한 한반도 강수량 변화를 나타내며,
청색
선은 39개 국제 기후연구소 모델의 평균으로 얻은 강수량 변화이다. 2100년에 이르면 약 3~4.5oC 지구온난화에 의해 한반도 여름철 강수량은 평균적으로 산업화 이전 대비 약 15%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출처: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이렇게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을 적색편이라고 한다. 반대로 파장이 짧아지는 현상은
청색
편이이다.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붉은색의 파장이 길고 파란색이나 보라색의 파장이 짧은 까닭에 붙은 이름이다. 파장이 길어진 이유는 광원인 시리우스가 지구에 대해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그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일치한다고 밝혔다. 성변물질 덩어리들이 질소가 풍부한 영역에서 나왔고 이는 Cas A가
청색
초거성이었을 가능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초신성 잔해에서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별의 잔재를 발견한 것은 화마가 휩쓸고 간 숲에서 아직 불에 타지 않은 나무를 발견한 것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시대가 열린 건 1991년 일본 니치아화학공업의 나카무라 슈지가 질화갈륨으로 고휘도
청색
LED를 만들어 이듬해 제품화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스마트폰과 전기차 시대가 열린 건 1985년 일본 아사히카세이의 요시노 아키라가 석유코크스로 음극 소재를 만들어 1991년 리튬이온배터리가 ... ...
[인터뷰] 코로나19 변종 초강력 전염성 첫 연구한 재미 최혜련 교수
연합뉴스
l
2020.06.16
전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노란색)가 세포 표면(
청색
·분홍색)에 몰려 있다. 미국 확진자의 검체를 배양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미 NIH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 교수는 서울대에서 식품영양학과 미생물학으로 학사,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커뮤니케이션스(ChemComm)’ 2019년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9/c9cc06882a 양 교수는 “
청색
소자의 경우 인듐으로는 높은 효율을 구현하기 어려워 텔루륨화아연(ZnTe)이라는 물질로 대체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4월 양희선 홍익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 ...
UNIST, 가시광선으로 '약물 뼈대' 합성하는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06.11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진은 낮은 에너지를 갖는
청색
가시광선과 이리듐 광촉매를 이용해 시클로부텐 화합물을 합성했다. 이 방법으로 작용기가 붙은 시클로부텐 화합물을 최대 99% 효율로 얻을 수 있었다. 자외선에 의한 작용기 손상으로 첨가할 수 있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