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빛
녹색
남빛
블루
푸른색
하늘색
남색
뉴스
"
청색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민물장어 형광단백질 이용해 살아있는 세포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결과 기존 기술에 비해 약 8배 오래 세포를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
청색
광과 빌리루빈 용액을 이용해 형광 신호를 끄거나 켤 수 있다는 의미”라며 “광표백 이후에도 우나지 단백질 자체에 구조적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심 교수는 “광표백 한계를 극복한 ... ...
빛만 쪼여도 공간 기억 능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개발했다. 빛을 이용해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이다. 쥐 머리에
청색
빛을 쬐어주면 광수용체 단백질 여러 개가 결합하며 세포의 칼슘 통로를 열고 세포 내로 칼슘이 유입된다.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머리 속에 광섬유를 집어넣어 빛을 뇌 조직으로 전달해야 한다. 털과 피부,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효율을 100배 이상 높이는데 성공했다. 붉은 빛의 적외선이 아닌 가시광선 영역의 빛인
청색
빛이 출력되는 현상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빛을 다양한 다른 색깔의 빛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비선형 광소자와 레이저는 작은 공간안에 빛을 ... ...
사실보다 더 사실같은 VR용 디스플레이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큰
청색
LED에서 나오는 빛 97%를 접합면에서 반사시켜 적색 LED의 색간섭을 막았다. 또
청색
과 적색 LED를 수직으로 결합하고 반도체 공정을 활용하면 높은 밀도의 마이크로 LED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6만 3500 PPI의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였다. 최근 개발되는 고해상도 LED의 해상도는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배열되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육각연필 구조의 길이 방향으로 만들어진 양자선은
청색
으로 축 방향과 나란한 편광을 지니게 됐다. 반면 연필대와 연필심의 기울어진 부분과 만나는 단면에 형성된 양자선은 녹색을 띠며 축 방향에 수직한 편광을 갖는다. 기존에는 색깔을 제어하려면 ... ...
나노·소재 기술 개발에 내년 2336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연계를 토대로 원천기술 기반 응용연구 투자도 강화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청색
발광 소재, 전자파 차폐 소재 등 대학 및 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한 핵심 원천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실증을 지원한다. 특히 우수 연구진을 보유해 국가연구실(N랩)로 지정된 연구기관 등을 ‘정책지정’으로 ... ...
VR용 초고해상도 OLED, 유리 위엔 올릴 수 없다는 ‘고정관념’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간격으로 뿌려 만든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한 화소를 구성하려면 적색(R)과 녹색(G).
청색
(B)을 차례로 나열해야 하기 때문에 PPI를 높이기 어렵다. 대신 높은 PPI를 위해서는 색이 없는 백색 OLED를 만든 후 색상 필터를 넣어 PPI를 늘리는 방법이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VR 디스플레이에 쓰기에는 밝기가 ... ...
운석에서 RNA 만드는 '당'성분 발견…목성·토성 위성 생명체 존재 가능성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생명에 필요한 리보핵산(RNA)을 구성하는 당인 '리보오스'의 분자구조와 1969년 호주에 떨어진 '머치슨 운석' 조각의 모습이다. 후루카와 요시히로 일본 도 ... 위성 '타이탄'의 지형도다. 모래언덕(보라색), 크레이터(적색), 평원(옅은 녹색), 호수(
청색
), 얼음(황색) 등이 표시돼 있다. NASA 제공 ... ...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l
2019.10.15
CRY4 단백질이 지구 자기장을 인식해 나침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CRY4 단백질은
청색
광에 반응하기 때문에 철새는 낮에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부 철새들은 야간에 이동하기도 한다.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 화학과 연구팀은 특정 철새들이 야간에 이동할 수 있는 이유가 CRY4 단백질 ... ...
우주 최강 자석별 '마그네타' 두 별 충돌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별에 주목했다. 이 별은 쌍성계의 두 별이 합쳐지며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되는 ‘
청색
낙오성’이다. 오래된 별임에도 젊은 별처럼 뜨거워 푸르게 빛나는 특징이 있다. 연구팀은 전갈자리 타우 별이 생겨날 당시의 모습을 우주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했다. 하이델베르크대 제공 연구팀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