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청색"(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으로 수면 뇌파 조절하면 학습내용 2배 잘 기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7
- 물결 형태의 뇌파)’가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뇌파로 알려져 있는 것에 착안했다. 먼저 청색광(光)에 반응하는 채널로돕신을 생쥐 간뇌의 시상 신경세포에 발현시켰다. 그리고 생쥐 머리에 꽂은 광케이블로 빛을 쪼여 생쥐의 뇌에서 수면방추파를 발생시켰다. 빛으로 신경세포를 조절하는 ... ...
- 빛을 이용한 단백질 활성화 속도 10배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분야 연구자들은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크립토크롬2로 단백질 군집을 만들어 왔다. 청색광을 쪼이면 크립토크롬2 주변으로 단백질이 군집을 이루는 식이다. 화학물질을 쓰는 것보다 부작용은 적지만, 여전히 시간은 오래 걸렸다. 연구진은 CRY2 단백질 사슬의 말단에 짧은 펩타이드(탄소, 질소 ... ...
- [ESC의 목소리 (13)] 정당한 발명자에게 적절한 보상을!2017.05.20
- 니치아화학과 특허보상금 소송을 화해로 마무리하면서 했던 말이다. 실제로 그는 청색 LED가 제품화된 뒤인 2000년에 이미 일본을 떠나 미국 대학의 교수로 갔으며, 미국 국적도 취득했다. 왜 일본을 떠나라고 했을까? 자신의 발명으로 천문학적인 이득을 얻은 니치아화학이 정당한 보상을 하지 ... ...
- [영상] 풀과 나무는 어떻게 자랄까요?과학동아 l2017.05.05
- 두 단계로 이뤄집니다. 첫째, 틸라코이드의 막에 있는 엽록소가 가시광선, 그중에서도 청색과 적색광을 흡수해 물을 분해합니다. 그 결과 산소와 수소이온 그리고 전자가 만들어집니다. 생성된 전자는 틸라코이드 막에 있는 전자전달계를 거치며 에너지를 저장한 분자인 ATP 등을 만들어 냅니다. 빛 ... ...
- 중국, 스모그 이어 짙은 안개…고속도로 통제·항공기 결항 속출포커스뉴스 l2017.01.05
- 중국 중북부 지방에 짙은 안개가 끼면서 4일(현지시간) 고속도로가 통제되고 항공기 결항이 속출하고 있다. - 트위터 갈무리 제공 (서울=포커스뉴 ... 4일 자정까지 유지한다. 중국은 스모그, 안개 등 대기오염 경보를 가장 낮은 수준부터 청색, 황색, 주황색, 적색 순으로 발령하고 있다.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형광단백질들을 만들었다. 2008년 하버드대 연구진들은 생쥐의 뉴런에서 녹색, 빨간색, 청색 형광단백질 유전자가 임의로 발현하게 만든 브레인보우(brainbow) 기술로 개별 뉴런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게 했다. - 네이처 제공 1960년대 미국 우즈홀해양생물연구소의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가 해파리에서 ... ...
- 원전 안전, 지진 규모보다 땅의 순간적 움직임에 좌우동아사이언스 l2016.12.02
- 물질 누출을 세 단계로 구분한다. 원전 건물 내부 누출인 백색비상, 원전 부지 누출인 청색비상, 원전부지 외부 누출인 적색비상이다. 적색비상부터는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주변 20~30km 이내 비상계획구역에 사는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갑상샘 방호약품을 배포하는 등 보호조치를 실시한다. ... ...
- 모니터 살 때 도움이 되는 기본 정보동아사이언스 l2016.08.23
- 수정체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합니다.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을 탑재한 모니터는 청색광 종류의 빛의 양을 줄여 시신경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줍니다. 또한 눈이 피로를 느끼게 되는 화면의 미세한 깜빡임 현상을 제거한 플리커-프리 기능을 탑재한 제품도 늘고 있습니다. 모니터는 ... ...
- 빛의 색깔 자유자재로 바꾸는 방법, 사탕에서 찾았다2016.07.25
- 향을 내기 위해 천연식물성 오일이 들어가는데, 이 오일이 자외선을 흡수해 가시광선인 청색 빛을 내는 현상도 발견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같은 색 조절 기술이 전력을 이용해 빛을 내는 보통의 발광 소자에도 적용이 가능할 걸로 보고 있다. 정 연구원은 “한 가지 종류의 미케노발광 ...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동아사이언스 l2016.07.10
- 부분에 위치한 심장근육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해 광 활성을 띠도록 만들었다. 여기에 청색광을 쪼이면 전기신호가 몸 전체로 퍼져나가면서 근육이 순차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하며 가오리 로봇이 헤엄을 치게 된다.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 없는 셈이다. 이때 머리 부분에 가하는 빛의 주파수를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