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억
회상
기억
추상화
뉴스
"
추상
"(으)로 총 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논의로 바뀌었다. 이는 플라톤주의의 당연한 귀결이라고도 할 수 있다. 플라톤주의는
추상
적이고 수학적인 반면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감각적이고 경험적이다. 과학혁명을 이끌었던 케플러, 갈릴레오, 뉴턴은 수학의 언어로 자연을 이해하려고 했던, 플라톤의 충실한 제자들이었다. 갈릴레오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을 통해 평온을 얻는다
2020.02.08
당장 마음의 상처보다 더 시급한 문제가 있다는 신호이므로 먼 미래에 대한 걱정 같은
추상
적인 문제보다 지금 여기에 의식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다. 많은 불안과 우울이 밑도 끝도 없는 상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단지 지금 이 순간에 주의를 한정시키는 것 만으로 기분이 많이 나아지는 현상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감을 잘 지키려면 자잘한 계획을 세우라
2020.01.11
뭐’라고 하는 것은 계획이라고 볼 수 없다. 일을 자잘하게 나누는 것은 커다랗고
추상
적이게만 느껴지던 일을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실천 가능하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책을 쓴다’고 하면 밑도 끝도 없는 과제로 느껴지지만 ①큰 주제를 정한다 ② 목차 1번을 정한다 ... ...
[주말N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
2019.12.14
풀기 위해서 수학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고민합니다. 특히 원래 문제를 변형해 더 어렵고
추상
적인 문제로 만들어서 생각하는 것을 즐깁니다. 군더더기를 제외하고 문제의 핵심만 남겨 일반화해 더 어려운 상황을 만들면 그 덕분에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많은 경우 이런 과정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현실에서는 마찰이 없을 수 없다. 갈릴레오가 사고실험에서 마찰을 배제한 것은 일종의
추상
화 과정이다. 운동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비본질적인 요소를 없애야 한다. 갈릴레오의 추론은 이러했다. 마찰이 없다면 빗면의 한쪽 끝에서 출발한 공은 다른 쪽 빗면을 타고 올라가 원래 빗면과 똑같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있다. 다만 20세기의 과학자들은 플라톤 입체라는 구조물 대신 주로 대칭성이라는 보다
추상
적인 수학 구조물을 더 좋아한다. 어쨌든 20대의 젊은 나이에 이런 책까지 썼으니 유럽 동네에서 수학 좀 한다는 소문이 났을 법도 하다. 브라헤가 갑자기 죽기는 했지만 브라헤의 모든 자료가 곧바로 ... ...
많이 풀고, 답 안보고, 즐기면서…수학 잘 하는 비결은 제각각
수학동아
l
2019.09.07
있다는 걸 알고 더 좋아하게 됐어요. Q. 수학의 어떤 점이 좋나요? 송승호 수학에
추상
성과 논리성이 결합돼 있다는 게 좋아요. 과학은 새로운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하거나 실제 현실에서 성립하는 것만 정리로 인정하잖아요. 수학은 논리적으로 증명만 하면 되기 때문에 좋아요. 조영준 일단 제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취업이 잘 안 되거나 등등 그걸 처음부터 ‘구조적’ 문제로 접근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추상
적이고 큰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인지적으로 많은 능력과 노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문제를 가급적 작고 구체적으로 명시할 때 사람들은 자신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갖게 되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덕적 자아상, '내로남불'의 심리학
2019.08.31
스스로 악하다 여기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 학자들의 설명이다.
추상
적으로 도덕적인 사람은 많지만 구체적으로 도덕적인 사람은 많지 않다는 말이 있다. 도덕을 주장하기는 쉬워도 실천하기는 어렵다는 뜻인데 일상 속 나의 행동에 대해 조금이나마 객관화해보는 시도가 실제 ... ...
[주말N수학]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과학과 수학이었다
수학동아
l
2019.07.27
그렸다면, 선과 면을 이용해서 그림을 그린 화가도 있습니다. 바로 네덜란드의 대표
추상
화가 피트 몬드리안입니다. 수 세기 동안 유럽 화가들은 3차원 공간의 실제 세계를 2차원 캔버스에 구현하려는 데 심취해 있었습니다. 몬드리안은 회화의 속성을 넘어 형태와 색상과 같은 본질적인 요소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