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추상"(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⑦ 요구를 잘 이해하는 습관 길러주기 2019.03.27
-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 보는 것까지 해냈다. 서툴지만 걸음마는 뗀 셈이다. 이제 조금 더 추상적인 방법으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법을 가르쳐야 할 때다. 바로 오브젝트끼리 대화하기, 즉 신호(Signal)의 사용법을 익혀야 할 차례다. 신호는 말 그대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지시를 하는 것이다. 우리가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2019.03.19
-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는 게 보다 이끄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성의 힘이다. 아직은 추상적인 것보다 구체적인 것에 더 직접적으로 다가가는 나이인 것 같다. 이번 시간의 코딩은 강아지와 엔트리봇이 서로 대화하는 상황으로 구성했다. 흐름 제어와 다중 스레드, 오브젝트의 속성에 대한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③컴퓨터와 대화하는 법2019.02.11
- 무궁무진하다. 문제의 가짓수 만큼 알고리즘도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문제 해결에는 추상화와 모델링이 필요하다. 바꿔 말하면, 잔머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류가 지금까지 켜켜이 쌓아올린 잔머리의 역사를 모두 배울 수 있을까? 그것도 초등 2학년 수준의 아이가? ‘외판원 순회 문제(Travelling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2019.01.28
- 물론 더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제 분할은 추상화하는 과정과 함께한다. 문제의 추상화와 분할, 순차적 실행이라는 컴퓨팅 사고력을 종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훌륭한 대안이다. 게다가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물건을 직접 만지며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기에 어린 아이와 친화성도 매우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2019.01.21
- 기본 개념과 원리’를 쉽게 정리하기 어렵다. ‘컴퓨팅 사고력’은 더욱 모호하다. 추상화와 모델링, 알고리즘을 활용한 문제 해결력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수학적 사고력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태생적으로 수학의 분과 학문으로 컴퓨터과학은 시작됐다. ‘컴퓨팅 사고력’이란 수학적 ... ...
- 사진도,사람 말도 잘 이해하는 AI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1.07
- 있는지에서 원인을 찾았다. 딥러닝은 데이터를 여러 겹의 ‘층(레이어)’을 통과시키며 추상적으로 변환시켜 특징을 찾고 학습을 한다. 이때 각 레이어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은 다른 레이어와 서로 연결돼 있는데, 빈 곳 없이 빼곡히 연결된 경우와 듬성듬성 연결된 경우로 크게 나뉜다. 김 ... ...
- 英 새 50파운드 지폐에 들어갈 과학자는 누구동아사이언스 l2018.11.27
- 논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의 선구적 인물이다. 알고리즘과 계산 개념을 튜링 기계라는 추상 모델을 통해 형식화함으로써 컴퓨터 과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위키백과 제공 이번에 추천된 인물 중 11만4000명은 이미 작고한 인물로 영국 과학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어야 한다는 영국 ... ...
- 컴퓨팅 사고력 ① 녹녹맨 발명기로 알아보는 핵심요소 4가지 수학동아 l2018.09.25
- 따라서 적정 범위를 정해 그 이상의 수를 입력하면 다시 입력하라고 알려주게 만든 것도 추상화의 하나예요. ③ 패턴인식 문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을 찾아내는 거예요. 기계의 오작동을 줄이고 처리 속도를 높이려면 한 번에 줄 수 있는 사료 양과 하루에 가능한 급식 예약 횟수를 ... ...
- 이 작은 돌조각에... 7만 3000년 전 사피엔스 최고(最古) 그림이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9.13
- 돌조각은 전체 그림판의 일부로 보인다. -사진 제공 네이처 이번 발견으로 인류가 처음 추상적인 생각을 표현한 시점이 기존보다 크게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동안 예술 인류학자들은 ‘상징’을 구현하는 가장 고급 시각 예술로 그림을 꼽았고 현생인류만이 그림을 그릴 수 있다고 ... ...
-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8.09.13
- “대부분의 유물들은 무언가를 ‘모방’하는 형태에서 시작해서, 다른 것과 합쳐지고 추상화되다가 소멸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고 설명했답니다. (왼쪽부터) 뱀 모양 항아리, 통호(제사 때 신에게 바친 물건), 박쥐 모양 장신구 모래로 황금빛 유물을 만들다! 전시 관람을 마친 기자단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