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뉴스
"
층
"(으)로 총 2,03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고생이 퀀텀닷·파노라마가상현실 개발…"노벨상서 아이디어 얻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수 있다. 대회 출품작품들은 내달 1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관 특별전시실(3
층
)에서 전시되고 시상식은 같은달 26일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개최된다. 권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전국과학전람회는 학생과 선생님이 한 팀을 이뤄 1~3년 장기간의 연구 과정을 탐구일지와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26.25%…국내 신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고려대 제공 연구팀은 혼합물 비율을 정밀하게 조절해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상부 결함
층
5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결함을 제거하면서도 표면 형태와 광학적 특성은 손상되지 않도록 했다. 연구결과를 공정에 활용해 제조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전지 ... ...
가볍고 강한 군사 장비 만들 '금속 3D 프린팅'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따른 격자 구조의 기계적 강도 차이 및 변형 거동 모식도. 포스텍 제공. 그리고 전단(
층
밀리기) 및 압축 하중에서의 기계적 성능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격자 형상에 따라 압축 및 전단 하중 하에서 기계적 특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격자 구조별로 달라지는 변형 거동을 규명한 것이다. 이번 ... ...
"인공 광합성, 탄소 배출 '0'…화석연료 기반 산업 바꿀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식물 잎 모양으로도 구현해 봤다"고 말했다. 이어 "더 큰 규모에서는 소자들을
층
으로 쌓은 '수직 농장' 개념을 생각하고 있다"며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양 교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원을 받아 인공 광합성으로 포도당까지 만드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며 "향후 ... ...
자동차 무게 견디는 '인공근육', 고무처럼 8배 이상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진동을 줄이기 위해 하이드로젤
층
을 덧붙인 이중
층
구조로 제작하기도 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에 대해 “기존 인공근육의 한계를 극복한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구동 성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 ...
'젓가락 팔'로 회수한 스타십…"상상이 현실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로켓이자 우주선인 높이 50m의 ‘스타십'으로 구성돼 있다. 슈퍼 헤비의 높이는 아파트 23
층
높이와 맞먹는다. 1단과 2단을 합친 총 길이는 120m다. 스타십은 발사 약 3분 만에 전체 2단 발사체의 아랫부분인 슈퍼헤비 로켓이 상단 우주선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다 .발사 약 7분 후에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본지 20년 그래핀, 잠재력 무궁무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그래핀 산화물 이용에 집중돼 있었다.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는 그래핀을 여러
층
으로 쌓아 1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미만 두께의 판 형태로 만든 것이다.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형태로 그래핀을 여러 가지 물질과 섞으면 그래핀의 성질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그래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영구동토
층
녹으면, 강둑 침식률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2
말했다. 영구동토
층
에는 대량의 메탄이 갇혀 있기 때문에 기후 변화로 영구동토
층
이 녹으면 메탄 방출로 기후 변화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가설도 존재한다 ... ...
3D프린팅으로 극한 우주환경 버티는 신소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활용했다. LPBF는 고에너지 레이저 빔을 사용하고 얇은 금속 분말
층
을 녹여 한
층
씩 적
층
하는 금속 3D프린팅 기술이다. 복잡한 형상의 경량 부품 제조에 적합해 우주·항공 산업과 같은 극한 환경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연구팀은 LPBF 공법을 이용한 공정에서 형성되는 미세조직인 나노셀 ... ...
전기 내뿜는 실로 상처 꿰매니 회복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마그네슘(Mg) 금속 주변을 여러
층
의 껍질로 감싼 형태의 섬유를 개발했다. 실이 움직이면
층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 정전기가 생기며 미세한 전류가 흐른다.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로 변환되는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기 자극 봉합사'로 쥐의 상처를 봉합하는 실험을 진행해 기존 봉합사와 치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