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흡수
뉴스
"
흡수작용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항암제 젬시타빈(dFdC)은 시티딘 유사물질로 암세포 안으로 들어가 DNA 합성을 방해해 작용한다(왼쪽). 암세포의 젬시타빈 내성은 내부에 존재하는 박테리아(녹색)가 젬시타빈을 다른 물질로 바꿔 없앤 결과로 밝혀졌다(오른쪽). 분자&세포 종양학 제공 다들 그렇겠지만 나이가 들수록 ‘생로병사’라 ... ...
"한파 급습, 기후위기 보여주는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하경자 IBS 기후물리연구단 교수가 1일 열린 한림원탁토론회에서 기후과학에 있어 디지털트윈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온라인캡처 "디지털트윈은 지구기후시스템을 똑같이 모방하는 기술입니다. 지구의 구름을 똑같이 재현할 수 있습니다. 탄소흡수원을 제대로 계산하려면 구름을 정확히 예측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DNA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제임스 왓슨은 2008년 자신의 게놈을 해독한 뒤 APOE 유전자 정보는 빼는 조건으로 데이터를 공개했다.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제공 1953년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DNA 이중나선구조를 밝힌 제임스 왓슨은 1980년대 인간게놈해독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힘을 보탰고 2008년에는 ... ...
건강 위해 마시는 하루 8잔의 물 "너무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5
하루에 1.2~1.8L의 물만 마셔도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건강을 위해 하루에 얼마나 많은 물을 마셔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약 2리터(L)에 해당하는 ‘8잔’을 적절한 섭취량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기준은 과학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음 ... ...
위기의 탄소저장고 '이탄지'…기후변화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영국과 콩고민주공화국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콩고분지의 이탄지에서 이탄을 채취하고 있다. 그린피스 제공 지난 7월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 방안으로 30여 곳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 매장지를 경매로 내놨다. 이 결정에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딴지를 걸고 나섰다. 그린피스 측은 "이 ... ...
[과기원은 지금] 신기정 KAIST 교수, 정보검색 분야 학술대회 튜토리얼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KAIST 제공 ■KAIST는 신기정 김재철AI대학원 교수가 지난달 17~21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진행된 '미국컴퓨터협회 정보 및 지식관리 학술대회(ACM CIKM) 2022'에서 튜토리얼 강연을 진행했다고 1일 밝혔다. 신 교수는 다양한 복잡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 ...
현대사회 환자 증가 우울증 치료제 처방 두고 의료계 '갈등'
동아사이언스
l
2022.09.04
신종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지속되면서 한국 우울증 환자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항우울제의 하나인 선택형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SSRI)는 우울증 치료 약물 중 상대적으로 부작용은 적고 안전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현재 정신과 외 내과, 소아청소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농도·고밀도로 기체를 물에 녹일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7
이번주 네이처는 표지에 물방울의 모습을 실었다. 자세히 보면 소용돌이 치는 유체 속에서 물방울처럼 보이는 둥근 형태의 모습이 보이고 그 속에 화학물질의 결합으로 보이는 구조가 들어있다. 제목엔 강렬하게 ‘다공성(투과성 POROUS) 물(WATER)’라는 두 단어를 내세우며 고밀도로 가스를 담을 ... ...
격렬하게 나무 쪼는 딱따구리 머리는 안전 헬멧 아닌 망치
연합뉴스
l
2022.07.15
초고속 촬영 분석 결과, 두개골 충격흡수 역할 통념 뒤집어 [Current Biology/Van Wassenbergh et al 제공 동영상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벌레를 잡아먹기 위해 나무를 격렬하게 쪼아대는 딱따구리의 뇌는 뇌진탕 없이 성할 수 있을까? 이런 의문 때문에 딱따구리의 두개골이 충격을 흡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네트워크의 베일을 벗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0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버섯의 모습을 8일 표지로 실었다. 버섯 사진 중간에는 ‘비밀의 협력자’, ‘세계 생태계를 유지하는 곰팡이를 찾아서’라는 문구가 쓰여있다. 버섯과 곰팡이는 균계 생물들이다.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낼 수 없어 영양 성분이 있는 유기물에 붙어 산다. 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