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스페셜
"
가닥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있도록 형태를 변형했다. 이번 표지는 이 과정의 한 순간을 표현했다. 녹색과 옥색 두
가닥
으로 표현된 것은 DNA다. 전사가 필요한 위치에 TFIIIB 인자(붉은색)가 먼저 붙고 그 뒤를 RNA 복제효소 Ⅲ(파란색)이 붙어 필요한 RNA를 전사하는 모습이다. 한편 이들이 연구에 이용한 극저온전자현미경은 201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크기의 로봇팔인 셈이다. 플레이트에 로봇팔의 끝 부분과 도킹할 수 있는 짧은 DNA
가닥
을 배치하면 로봇팔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컴퓨터에 원하는 동작을 입력하면 로봇팔은 천 분의 1초 내에 작동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DNA 로봇팔을 하나 또는 여러 개 이어 붙이면 나노물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걸 보여주기 위해 복잡한 대장균 게놈(460만 염기쌍) 대신 플라스미드(plasmid)라는 원형 DNA
가닥
에 비정규 염기쌍(X:Y로 표시)을 하나 집어넣었다. 즉 플라스미드의 DNA 염기쌍 2686개 가운데 하나가 X:Y인 것. 이 플라스미드를 대장균 안에 집어넣은 뒤 배양을 했다. 플라스미드는 대장균 안에서 게놈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중간 산물이 DNA의 아데닌(A) 염기에 달라붙는다. 그 뒤 DNA를 복제하는 과정에서 상보적인
가닥
에 티민(T) 대신 아데닌이 들어와 결국 A에서 T로 바뀌는 변이가 일어난다. TP53 같은 암억제 유전자에 이런 변이가 일어나면 암이 생길 수 있다. - 미국 보건사회복지부 제공 싱가포르와 대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드레버도 레이저 간섭계의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이쪽으로
가닥
을 잡는다. 그 뒤 손 교수는 드레버를 칼텍으로 영입했고 둘은 40m짜리 중력파검출기 원형을 제작한다. 바이스 역시 MIT에서 검출기 설계에 들어갔다. 1983년 MIT의 바이스와 칼텍의 손과 드레버는 손을 잡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신종 바이러스로 밝혀졌다. 번야바이러스(Bunyavirus)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처럼 RNA음성
가닥
, 즉 전령RNA(mRNA)의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게놈으로 한다. 그리고 게놈이 세 조각으로 나눠져 있다. 참고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게놈은 여덟 조각이다. 1976년 우리나라 이호왕 교수가 발견한, 유행성출혈열을 ... ...
[표지로 읽는 과학]DNA가 세포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이유는 ‘종이접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3.26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A)서로 다른 종류의 단백질(다양한 색)은 DNA 이중
가닥
(회색)에서 두 부위를 인식하고 결합한다. (B)단백질이 DNA에서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고 달라붙어 DNA를 일정한 모양으로 구부러트린다. - 사이언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반해 말단은 평균 13㎛에 불과했다. 즉 힘줄의 콜라겐섬유가 뼈에 들러붙기 전에 수십
가닥
으로 갈라졌다는 말이다. 또 힘줄이 붙는 뼈의 표면이 울퉁불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콜라겐섬유와 뼈가 닿는 표면적이 크게 늘어났고 따라서 접착력도 강해진 것이다. 연구자들은 질량분석기로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아밀로이드는 당과 단백질이 뭉쳐진 덩어리입니다. 길쭉길쭉한
가닥
처럼 보이죠. 보통
가닥
하나의 너비가 5~15㎚(나노미터),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입니다. 본래는 우리 몸 안에서 정상적인 역할을 하던 단백질이 세포 주변에서 덩어리를 이루며 아밀로이드를 이룬 것이지요. 주를 이루는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계획한 것 달성하려면, 이렇게!
2017.01.21
가닥
만 보고 있으면 참 간단해 보이고 이틀이면 다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삶은 한
가닥
의 실이 아니고 복잡한 실타래들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는 현실과 동떨어진 예측이 되고 만다. 또한 무언가를 시작하고 계획할 때는 이것을 꼭 해내고야 말겠다는 다짐과 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