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스페셜
"
가닥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시달린다는 업계의 입장도 계속 묵살할 수 없기 때문에 인상폭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닥
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우유 소비량은 2011년 자료에 따르면 연간 1인당 27리터. 많아 보이지만 1년 365일로 나누면 하루에 100밀리리터도 안 된다. 거의 매일 우유 한 잔을 마시는 필자는 평균의 두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염기서열의 상당부분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또 실제 전사가 일어나 RNA
가닥
을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여러 조직에서 얻은 140여 가지 유형의 세포를 분석한 결과 유전자가 아닌 영역의 활동이 세포에 따라 달랐고 이는 곧 이들 영역의 활동유무가 각 세포의 특성에 영향을 ... ...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허락된 것은 시베리아의 혹독한 기후와 3주의 짧은 시간. 탐사팀은 얼음 절벽을 한
가닥
밧줄에 의지해서 내려가고, 무너져 가는 동굴에서 가까스로 탈출하며, 드디어 잘 보존된 매머드 샘플을 찾아내는데… 시베리아에서 채취한 매머드 샘플을 한국으로 가져온 탐사팀은 결국 세포핵을 찾아내는데 ... ...
[인물]영화 탄생의 숨은 공로자, 마이브리지
KISTI
l
2013.05.02
하고 뛰면 속보(trot), 점프를 뛰듯이 ‘성큼성큼’ 달리면 구보(canter), ‘타
가닥
타
가닥
’ 하며 전속력으로 질주하면 습보(gallop)라 부른다. 평보는 발굽이 모두 떨어지는 때가 없고 구보는 몸이 공중에 떠 있는 때가 많아 확실하지만, 속보와 습보는 판단하기가 애매했다. 사람의 눈으로 구별이 안 갈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좀 복잡하다. 즉 숙주세포에 감염한 뒤 RNA게놈을 바탕으로 DNA
가닥
을 합성한 뒤 이 DNA
가닥
이 세포핵 안으로 이동해 숙주게놈에 끼어들어간다. 그런데 RNA에서 DNA를 합성하는 바이러스 효소는 AZT에 속아 넘어간 것. 실패한 항암제에서 20세기 흑사병에서 인류를 구한 항바이러스제로 AZT의 운명이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잘라 저장했고 각각에 색인(물론 DNA염기서열로)까지 붙여 한 단위로 만들었다. 즉 긴 DNA
가닥
하나에 정보를 모두 담는 게 아니라 고려 팔만대장경처럼 조각조각 나눠 정보를 담아 보관하는 것이다. 그런데 다음 정보 단위는 앞의 것의 26번째부터 시작해 100개를 저장한다. 즉 염기 25개 단위로 네 번에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신출귀몰한 건 게놈이 DNA가 아니라 돌연변이가 쉽게 일어나는 RNA로 이뤄져 있는데다 8
가닥
으로 쪼개져 다른 유형과 재조합이 쉽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독감 백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소아마비 백신처럼 한두 번 접종하면 평생 걱정할 필요가 없는 항체를 형성하는 독감백신에 대한 꿈을 버리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RNA이중나선 열 조각으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밝혔고, 1975년에는 전령RNA 역할을 하는
가닥
의 한쪽 끝에 ‘m7GpppN’으로 표현하는 갓(cap) 구조가 덧붙여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놀랍게도 동일한 구조의 갓이 진핵생물의 전령RNA에도 존재했다. 갓은 전령RNA의 말단을 가수분해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갖게 된다. 1961년 36세에 오크리지국립연구소에 자리를 잡은 밀러는 전자현미경으로 DNA
가닥
에서 유전자가 전사되는 장면을 포착하는 시도를 한다. 1969년 5월 23일자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표지는 그가 동료 바바라 비티와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찍는데 성공한 리보솜RNA 유전자의 전사 장면이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이다. 이런 부분은 일정한 염기서열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부분이 태반이므로 DNA
가닥
을 쪼개 염기서열을 분석하더라도 이게 어디에 들어가는지 퍼즐을 맞추기가 지극히 어렵다. 아직도 밀과 보리의 게놈을 완전히 해독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빵밀 유전자 수, 사람 유전자 수 4배 넘어 한편 ... ...
이전
9
10
11
12
1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