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감정"(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폐 생쥐 빛 자극 줬더니 회복…자폐 환자 사회성 저하 원인 규명 한걸음동아사이언스 l2021.08.27
- 전전두엽을 관찰했다. 대뇌 전두엽의 안쪽 부분인 내측 전전두엽은 주로 인지, 판단, 감정, 사고 능력과 관련돼 있다. 관찰 결과 정상 쥐의 뉴런은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르게 반응했지만 자폐 생쥐는 접촉 대상을 구분하지 못하며 비슷한 신경 활성 패턴을 보였다. Shank2가 결손되면 사회성이 ... ...
- 코로나19 유행이 영유아 지능 발달 방해했다동아사이언스 l2021.08.24
- 연구팀은 평가 내용을 세분화해 조기 학습 능력과 언어적 발달, 그리고 상황이나 감정, 몸짓 등을 이해하는 비언어적 발달에 대한 평가 점수도 비교해봤다. 전체 인지발달 평가 점수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태어난 영유아들이 27~37 정도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까만 양을 색출하자는 진짜 까만 양들의 심리2021.08.14
- 억울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 억울함이라는 감정은 강렬하고 감정은 강렬할수록 해당 감정을 촉발하는 사건들을 ‘내 일인 것처럼’, 개인적으로 느껴지게 만든다. 따라서 차별의 단물을 누리고 있는 이들에게는 차별의 존재를 지적하는 모든 시도, 즉 자신을 억울하게 만드는 시도들이 곧 자신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위로와 조언의 조건2021.08.07
- 능력을 인간됨됨의 중요한 지표로 삼는 것 또한 이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서로의 감정을, 필요를 더 잘 이해하고 서로에게 더 큰 힘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자료 Maisel, N. C., & Gable, S. L. (2009). The paradox of received social support: The importance of responsiveness. Psychological Science, 20(8), 928–932. Shu, ... ...
- [올림픽의 과학]은메달과 동메달 행복감 별 차이 없다동아사이언스 l2021.08.06
- ‘성격및사회심리학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TV 중계방송으로 선수의 표정을 이용해 감정 상태를 조사했고, 경기에서 메달 색깔이 확정되는 순간 은메달 선수의 행복도는 10점 만점에 4.8점인 반면 동메달 선수는 7.1점으로 더 높았다고 밝혔다. 시상식 포디엄에서 메달을 목에 건 순간에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SNS 사용에 지쳐가고 있다면2021.07.17
- 지나치게 어려운 과제다. 서로 얼굴을 마주 보고 있어서 표정이나 목소리 톤 같이 감정 상태에 대해 많은 정보를 주는 비언어적 신호들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눈 앞에 있는 사람의 의중을 파악하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기억하자. 이때에도 마치 탐정 놀이를 하는 것처럼 주어진 정보를 나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좌절과 실망이 습관인 사람에게2021.07.10
- 동기부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실망에서 행동으로 옮겨가지 않고 실망이라는 감정에만 계속해서 갇혀있다 보면 이러한 괴로운 마음을 달래는데 과한 에너지를 쏟게 되며 이는 그야말로 본말전도다. ‘적당한’ 실망은 필요하지만 ‘선을 넘은 과한 실망’은 아무 도움도 되지 않고 되려 ... ...
- [카드뉴스] 우울할 때 당신은 무엇을 하십니까?동아사이언스 l2021.06.29
- 않았습니다. 참가자가 스스로 평가한 실제 감정과 휴대전화가 측정한 감정의 일치도는 87%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관련기사 동아사이언스 2015년, 오늘 우울했니? 휴대전화에 물어봐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7585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왜 힘들까?2021.06.26
- 필요한 적응적인 반응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정신이 바짝 들게 해주는 정도의 감정이지 과장된 좌절감은 아니다. 그렇다면 대체 왜 우리는 실제보다 더 삶을 힘들게 느끼는 걸까? 미국 듀크대의 마크 리어리 교수는 저서 《나는 왜 내가 힘들까 (원제: 자아의 저주)》에서 인간만의 독특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누군가 내 분노의 버튼을 누른다면2021.06.12
- 이렇게 행동하자며 합의된 규칙 위반에 대한 반응이라면(예, 너에게 개인적인 악감정은 없다만 이런 행동은 명예롭지 않으므로 처벌하는 게 우리 집단의 규칙. 나를 모욕한 너에게 결투를 신청하는 것이 나의 명예를 지키는 방법) 후자는 내가 생각하는 나의 이미지나 자기 가치감에 금이 갔는지의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