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스페셜
"
꼬리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6.08
찾았으며 갈색 아놀리는 육지 쪽에서 서식하며 땅에 있는 먹이를 먹었다. 하지만 말린
꼬리
도마뱀이 사는 섬 네 곳에서는 두 종의 아놀리 모두 천적의 위협을 피해 나무에 서식했다. 그로 인해 두 종의 아놀리 간 먹이 경쟁이 심화되어 녹색 아놀리가 멸종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프링글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있다. 도대체 초고체가 뭐길래 “있다” “없다” “아니, 있다”는 식의 엇갈린 주장이
꼬리
를 물고 이어지는 걸까. 물질은 보통 세 가지 상 가운데 하나로 존재한다. 고체, 액체, 기체다. 고체는 구성 원자(또는 이온이나 분자) 사이의 상대적 공간 좌표가 일정 범위 안에서 정해진 물질이다.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보내기로는 각도와 변 길이를 전달할 수 없지 않냐고 답했다. 아이는 지지 않고 답변의
꼬리
를 물었다. 변수 만들고 거기로 전달하면 되는 것 아니냐며 투덜거렸다. 제법 날카로운 질문이나, 9살 아이에게 딱히 설명할 방법을 찾기 어려웠다. 높은 응집도와 낮은 결합도(High Cohesion, Low Coupling) 원칙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새 깃털 입고 박쥐처럼 날아다닌 암보프테릭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암보프테릭스는 이치에 비해 앞다리뼈가 넓고 길며,
꼬리
뼈가 척추에 융합돼 있어
꼬리
가 짧다. 연구팀은 암보프테릭스가 다른 비행 수각류와는 달리 박쥐와 비슷한 방식으로 날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몸에는 털이 나 있어 언뜻 새와 비슷하지만 날개는 박쥐와 닮았다. 그 증거로 ... ...
심뇌혈관 질환 예방하려면 단 음식에 ‘
꼬리
표’ 붙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음료와 쿠키, 케이크 등 설탕 함유량을 알리면 20년간 심혈관질환과 당뇨 수십만 건씩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심뇌혈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가공식품에 설탕 함유량 라벨을 달아야 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레나타 미샤 미국 터프츠대 프리드먼 영양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④첫 번째, 코딩 준비 운동하기
2019.02.25
“ 홈 바에 생수가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하지” 등 로봇에게 지시할 것은
꼬리
에
꼬리
를 물 수 있다. 이런 것들을 아이에게 추가적으로 작성하라고 할까 하다 “그만 좀 개로피십시오”라 말씀하시던 어떤 분이 생각나 그만두기로 했다. 아이의 눈에는 이미 지루함이 담겨 있었다. 정리가 필요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5.0인 매가 65인치 TV를 본다면 최대 6.55m 거리에서 8K 영상과 4K 영상을 구분할 수 있다. 붉은
꼬리
말똥가리의 눈. 위키피디아 제공 8K 영상도 단순히 해상도만 높인 게 아니라 화질의 다른 측면도 더 뛰어나다고 하지만 다른 측면 역시 4K에서 사실상 인간 시각의 한계에 이른 것 아닐까. 바야흐로 TV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영장류다. 참고로 원숭이와 유인원의 차이 가운데 하나가
꼬리
유무다. 즉 긴팔원숭이는
꼬리
가 없다. 오늘날 긴팔원숭이는 4속(屬) 20종(種)이 중국 남부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종 수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 있다). 그런데 2000여 년 전만 해도 중국 중부에도 긴팔원숭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수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수정이 일어나려는 찰라를 포착한 사진이다. 정자
꼬리
표면에 분포한 후각수용체가 활성화돼야 정자가 활발히 움직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버터의 풍미를 아는 혈액세포 피에는 다양한 종류의 혈액세포가 있는데 역시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수 있는 음식이 아니다(예외적으로 같은 유대류인 주머니날다람쥐와 주머니여우, 반지
꼬리
주머니쥐도 유칼립투스 잎을 즐겨 먹는다). 잎에 독이 잔뜩 들어있기 때문이다. 사실 코알라처럼 순하고 연약한 동물이 지금까지 살아남은 건 키가 큰 나무인 유칼립투스에 살면서 천적을 피하고 동시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