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스페셜
"
꼬리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행기 고도 600m만 낮춰도 대기오염 줄어
과학동아
l
2020.03.06
제공 항공기가 고도 8km 이상 높이 날 때 항공기의 자취를 따라 생기는 긴
꼬리
모양의 비행운(飛行雲)은 지구온난화를 부추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속 미세입자에 수증기가 달라붙으면서 비행운이 만들어지고, 이들 비행운이 지표에서 방출하는 에너지를 흡수해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이용해 위성의 자세가 뒤틀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꼬리
에
꼬리
를 물고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연구팀은 2011년부터 연구 개발에 매달렸고, 마침내 위성 본체는 국내 연구팀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발사 전 점검에 또 점검 천리안 2B호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성공했다. 키메라는 그리스로마신화에서 나오는 괴물로 양의 몸통에 사자 머리, 뱀
꼬리
가 달렸다. 과학계에서는 한 종의 유전자 등을 다른 종에게 주입해 변형시킨 것을 키메라라고 부른다. 이런 엽기적인 실험의 궁극적인 이유는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는 사람의 장기를 동물을 이용해 키우기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더 그럴듯한 증거는 인더스 사람들이 진흙으로 만든 인장들이에요. 여기에는 닭의 볏과
꼬리
를 묘사한 조각이 여럿 발견됐습니다. 하지만 인더스 사람들이 닭을 잡아먹기 위해 길렀던 것은 아닙니다. 인더스 유역에서 발견된 진흙 유물 중에는 두 수탉에게 싸움을 붙이는 모습의 조각이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macaque), 오랑우탄, 침팬지도 대머리가 된다. 일부 고릴라도 그런 현상이 관찰되었다. 짧은
꼬리
원숭이의 머리는 눈썹까지 내려오지만, 서너 살 무렵 사춘기가 지나면 암수 모두 점점 대머리가 된다. 물론 수컷에서 더 두드러지는데, 일곱 살이 지나면 수컷의 이마는 하늘 높이 올라간다. 탈모 ... ...
송희경 의원 "文정부 출범 후 출연연 논문 성과 순위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대비 연구개발(R&D) 투자비율은 세계 최고 수준임에도 여전히 성과 부족이라는
꼬리
표를 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글로벌 경쟁력에 뒤쳐진 국내 연구기관의 시스템 미흡점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실 제공 ... ...
국산 알파고 '바둑이'와 싸운 바둑 고수 "AI에 배우는 느낌"
동아사이언스
l
2019.09.08
보니 최대한 싸움을 피한다”며 “싸움을 할 수 없이 해야할 때는 도마뱀 작전이라고
꼬리
만 딱 내 주면서 약간 이득을 보며 조금씩 따라간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의 말대로 바둑이가 불리하던 하변을 갑자기 버리고 우상변의 급소를 하나하나 찔러가기 시작하면서 경기가 급격하게 뒤집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쁜 사람보다 위선자를 더 싫어하는 이유
2019.08.24
위선자라고 부른다. 타인에게는 높은 도덕적 기준을 적용하고 쉽게 비도덕적이라는
꼬리
표를 붙이지만 자신의 잘못은 철저히 숨겨 비판을 피해가고 도덕적이라는 평판을 부당하게 유지하는 경우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질리언 조던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사람은 위선자를 거짓말쟁이보다 더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선박용 이어 항공용 위성 안테나 시장도 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최근 항공용 위성 안테나도 개발하고 있다. 박 상무는 "항공기의
꼬리
날개나 여객기의 동체 등부분, C-130 같은 군용 수송기의 머리 꼭대기 부분에 부착하는 형태"라며 "주로 정지궤도위성 기반 Ku밴드와 Ka밴드를 활용하는데, 처리속도가 300Kbps(킬로비트)~10Mbps로 해상 위성통신보다는 조금 느린 편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6.08
찾았으며 갈색 아놀리는 육지 쪽에서 서식하며 땅에 있는 먹이를 먹었다. 하지만 말린
꼬리
도마뱀이 사는 섬 네 곳에서는 두 종의 아놀리 모두 천적의 위협을 피해 나무에 서식했다. 그로 인해 두 종의 아놀리 간 먹이 경쟁이 심화되어 녹색 아놀리가 멸종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프링글 교수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