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e
roma
롬
스페셜
"
로마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곳은
로마
의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이다. 기차를 타고
로마
에 들어오는 사람들은
로마
의 테르미니 역에 내린다. 테르미니 역에서 남쪽으로 걸어서 채 10분이 걸리지 않는 거리에 산타마리에 마조레 대성전이 있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아미뇽 유수 이후 교황이 머물렀던 성전이기도 해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류 '유전자'는
로마
로 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0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8일 은은한 조명을 받고 있는
로마
콜로세움의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콜로세움은 72년
로마
제국 시대에 지 ... 것에 의의가 있다”며 “’모든 길은
로마
로 통한다’는 말이 존재하듯 인류 유전자도
로마
로 통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인류와 질병] 우등생일수록 근시 많다는 이야기 사실일까
2019.11.09
큰 위협이 되었을 것이다. 안경과 근시가 공진화한 것이다. 최초의 안경은 그리스,
로마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지만 아마 본격적인 근시 교정용 안경은 수백 년의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13세기 경부터 안경을 쓴 초상화가 등장하곤 한다. 긴 진화사에 비하면 아주 최근의 일이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어쩔 수 없이 벤 섬을 떠나 당시 신성
로마
제국 치하의 프라하로 옮겼다. 당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돌프 2세는 브라헤를 궁정수학자로 임명했다. 이듬해인 1600년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를 채용해 그때까지 자신이 모은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정리하는 일을 맡겼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사진은
로마
의 비또리오 에마누엘레 2세 다리의 전경이다. 지난 2017년 이탈리아
로마
시는 전기료 절감 명분으로 나트륨등을 LED등으로 바꾸는 정책을 시행해 시민들로부터 “끔찍하다”는 강한 항의를 받았다. 위키피디아 제공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나라 저공(狙公)은 원숭이를 키웠는데 숫자가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금메달리스트도 치매를 앓고, 노벨상 수상자도 치매를 앓는다. 좋다는 음식만 골라 먹은
로마
의 황제와 조선의 왕도 치매에 걸렸다. 치매는 도대체 왜 걸리는 것일까? 1993년 이런 미스터리의 실마리를 찾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아포지단백 엡실론 4 유전자의 네 가지 대립 유전자가 발견된 것이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하고 바란다. 진짜 공부는 그렇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물론
로마
의 캄포 데 피오리 광장에 가서 가디언 지의 기사를 뽑아 들고 브루노 동상 옆 카페에 둘러앉아 토론을 하는 것이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언젠가는 우리의 대학 교양수업이 그런 식으로도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0만 명의 바스크인이 살고 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들은 게르만인이나 노르만인, 혹은
로마
계열의 유럽인과 완전히 다르다. 일단 언어부터 다른데, 바스크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도 않는다. 유럽 고유의 오래된 언어로 알려져 있다. 바로 옆에 있는 프랑스나 스페인어와 완전히 달라서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
2019.09.08
말라리아모기가 많던 사르데냐섬에 대대적인 방역이 진행되었다. 카르타고와
로마
는 처음에는 무기로, 나중에는 말라리아모기로 사르데냐섬을 공격했다. 아마 사르데냐 인은 지난 수천 년간 말라리아모기와 일종의 타협점에 도달했는지도 모른다. 건강과 질병 간의 아슬아슬한 타협이다. 사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쓰는 숫자체계이다. ‘아라비아 숫자’는 말 그대로 아랍의 수이다. I, V, X 등을 사용하는
로마
식 숫자표기로 산수계산을 한다고 생각해 보라. 얼마나 복잡하고 불편할까! 알 콰리즈미는 9세기 초반 《더하기와 빼기의 방법》 책을 썼다. 이 책은 대수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책으로 평가받는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