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스페셜
"
반응
"(으)로 총 2,1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신소재 '맥신'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23일(현지시간) 게재했다. 연구팀은 가스 화학
반응
으로 형성된 입자 표면에 수증기를 쏘아 증착시켜 보호막인 절연막이나 전도성막을 형성하는 '화학 기상 증착법'을 활용해 개발한 맥신 시트가 단단하면서도 우수한 에너지 저장 용량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 ...
[오늘과학] '꿈틀꿈틀' 수mm 공간 기어가는 애벌레 모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너무 많은 열에 노출시키면 오히려 움직임에 제약을 받는다. 폴리머 2개층이 효율적으로
반응
하지 못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로봇이 문 아래 작은 틈새로 기어가는 것을 시연하는 등 여러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수색과 구조 장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유도된 심장 박동 변화가 뇌 내 감정 관련 활성들과 합쳐져서 최종적으로 불안과 공포
반응
으로 표현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진은 후섬피질(posterior insular cortex)을 이러한 신체-뇌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뇌부위로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후섬피질의 활성이 위협적 환경 하에 심장 빈맥이 ... ...
[과기원은 지금] UNIST, 해수전지 성능 대폭 향상시키는 '슈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있었다. 또 금이나 백금과 같은 전도성 생체재료 이식 시 조직 손상이나 극심한 염증
반응
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으며 이식 및 제거 시 수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화젤은 절개 없이 주사로 주입해 감염 위험 등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분해 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 ...
[박정연의 닥터스] “몸도 기억하는 트라우마...신체로 치료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방식이다. 내가 통제하지 못하는 감각들을 이완하고 섬세하게 도와주면서 트라우마의
반응
과 자각을 도울 수 있다. 대표적인 소마틱스 기법으로는 '알렉산더 테크닉'이 있다. 호주의 한 배우가 발성기관에 이상이 생겼는데, 발성 기관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몸을 습관적으로 잘못 쓰는 방식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확인됐다. 연구팀은 다양한 나비넥타이 입자가 카이랄성 값에 따라 편광과 다르게
반응
하는 것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카이랄성 화합물은 지속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다 편광 현상을 활용하면 향후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분야는 물론 다양한 색채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 소재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깊이 별로 발생하는
반응
의 불균일성을 분석했다. 위치에 따른 색의 분포를 비교해
반응
의 불균일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기존에 없는 새로운 접근법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19일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생쥐가 불안 행동을 보인다(왼쪽). 한편 뇌섬엽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iC++)은 파란빛에
반응
해 통로가 열리며 빈맥으로 유발된 불안을 차단한다(오른쪽). 네이쳐 제공 ● 뇌섬엽이 허브 그렇다면 심박수 증가 정보가 뇌의 어디로 전달돼 불안이라는 감정을 일으켰을까. 빨간빛으로 심박수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팀,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조절 T 세포는 우리 몸에는 면역
반응
의 과도한 유도를 조절하고 자가면역질환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종양 내에 존재해 면역세포의 암세포 제거 능력을 저해하는 조절 T세포만을 골라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수상자로 선정된 테이텀의 수상업적은 레더버그와 다르게 “유전자가 특정한 화학
반응
을 조절함으로써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었다. 그런데 세균은 어떤 방법으로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것일까. 레더버그는 자신의 발견이 항생제 내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지만 두 세균이 붙었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