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스페셜
"
반응
"(으)로 총 2,16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
2023.07.15
곧 나인 것은 아니라는 말처럼 감각까지 통제하지는 못하더라도 감각에 대한 나의
반응
은 내게도 어느 정도 선택권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많은 괴로움이 현실과 별개로 내가 내리는 평가와 판단들에 의해 생긴다는 사실과 내가 겪는 어려움이 곧 나인 것은 아니라는 점 기억해보자. ※필자소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알칼로이드 분자로 인체의 25가지 쓴맛수용체 가운데 5가지(TAS2R7, 10, 14, 43, 46)가 카페인에
반응
해 쓴맛 신호를 보낸다. 커피의 카페인은 위샘을 이루는 위벽세포 표면의 쓴맛수용체에 달라붙어 위산 분비를 촉진한다. 카페인을 캡슐에 넣어 복용하면 쓴맛을 느끼지 못하지만 오히려 위산 분비는 더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도 먹이와 해로운 자극을 기억하여 이에 따라
반응
하는 단순한 형태의 학습과 기억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예쁜꼬마선충의 학습과 기억도 포유동물과 유사한 분자적 수준의 기전들을 통해 조절된다는 것을 밝혀낸 바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만들 수 있다. 고에너지 방사선이 바위틈으로 침투한 물분자를 쪼개 수소를 만드는
반응
을 통해서다. 흥미롭게도 과거 몇몇 원자력발전소가 사용한 방사성 원료와 폐기물에서 나오는 방사선으로 수소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검토했지만 사업성이 없어 포기했다고 한다. 끝으로 지구 중심(외핵)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근육의 NAD+ 농도 역시 운동으로 올라간다. 운동으로 NAD+가 늘면서 타우린 합성
반응
이 더 활발해진 결과일 수 있지 않을까. 이번 생쥐와 붉은털원숭이 실험의 타우린 투여량을 사람으로 환산하면 하루 7~8g에 해당한다. 암컷 생쥐 실험에서는 투여량을 반으로 줄여도 여러 항목에서 꽤 효과가 있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최대 73% 늘었다. 이는 동물이 도로와 도로 근처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활동에 민감하게
반응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심 지역이나 인구 밀도가 매우 높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봉쇄 기간 동안 동물들의 이동 거리가 12%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 이유에 대해 야생 동물들을 자극하는 인간들의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기판에서도 진행한 성능 시험에서도 우수한 접착 특성을 보였다. 80도 고온 자극에
반응
해 97% 접착력 감소를 나타냈다. 가열과 냉각이 반복되는 사이클에서도 안정된 접착 전환 특성이 구현됐다는 설명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머터리얼즈 호라이즌스'에 지난달 16일 게재됐다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뇌 속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들을 섭취 이후 신체
반응
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기억 형성 과정에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갈증 해소와 에너지 충족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당분이 높은 음료를 마신다고 하면, 마신 이후 갈증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가면역에 대한 이해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COVID-19·코로나19) 사태 때 자가면역에 대한 이해가 깊어 졌다. 예를 들어 항바이러스 면역
반응
에 대한 자가항체가 심각한 자가면역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 감염 후 심각한 후유증인 ‘롱 코비드(Long Covid)’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자가면역질환으로 분석된다. 사이언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공급하면 실컷 먹었음에도 여전히 배가 고프다는 신호가 계속 전달돼 정상적인 물림
반응
이 일어나지 않는다. 식욕(appetite) 조절은 배고플 때 위에서 분비되는 식욕촉진호르몬인 그렐린(ghrelin)과 배부를 때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식욕억제호르몬인 렙틴(leptin)의 상호작용 결과로 알려져 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