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스페셜
"
안
"(으)로 총 2,9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안
지환 지질자원연 연구원, 여성 최초 한국에너지학회장 취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책임연구원이 제28대 한국에너지학회장으로 취임했다고 16일 밝혔다. 임기는 1년이다.
안
책임연구원은 한국에너지학회에서 여성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학회장에 선출됐다. 국내 자원공학 분야 1호 여성 과학자이기도 하다. 1988년에 지질자원연에 입사한 그는 탄소광물화사업단장 등 자원순환연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18회 아시
안
컵이 열린다. 우리나라는 1956년 1회와 1960년 2회에 연속 우승한 뒤 무려 64년 동
안
우승컵을 들지 못했다. 현재 프리미어리그 득점 3위와 6위, 최근 프랑스 슈퍼컵을 들어 올린 이강인, 지난해 발롱도르 22위로 수비수 가운데 가장 높은 김민재 등 어느 때보다도 화려한 선수진을 자랑하는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겨울방학 특별교육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감별, 지문‧족적 채취, 혈흔 감식 등 다양한 과학수사 기법을 체험해 보고 그
안
에 담긴 과학 원리를 학습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있다. 이외에도 초등학생을 위한 창작 및 소프트웨어(SW) 수업도 선보인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오는 13일 우주탐사를 주제로 한 대중강연 프로그램 ‘Moon to Mars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고압에서 순간 추출하기 때문에 덜 추출되는 것으로 보인다. 글을 쓰다 보니 한동
안
안
마신 프렌치프레스 커피의 풍미가 생각난다. 내일 아침에는 오늘 사 온 에티오피아 케라모 원두를 모처럼 프렌치프레스로 우려내 한 잔 마셔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딱 한 번
안
해줬을 뿐이지만 그 한 번을 가장 강렬하게 기억하고서는 “그 때 내 부탁
안
들어줬잖아!”라고 하는 식이다. 이렇게 타인이 나에게 한 행동은 좋았던 것보다 나빴던 걸 더 강하게 기억하는 반면 내가 남에게 하는 행동을 기억할 때는 정 반대의 현상이 나타난다. 내가 타인에게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패터닝된 메타표면과 빛을 이용해 거리를 인식하는 차세대 컴퓨터 비전 기술이다.
안
교수의 기술은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사용해 2차원 소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얇고 균일한 원자층막 증착을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비어있을 때보다 누군가
안
에 갇혀있을 때 상자 문을 열 가능성이 높았다. 또 상자
안
에 갇힌 동료 돼지를 응시하는 시간이 긴 돼지일수록 도움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상자를 열고자 하는 행동이 단순 호기심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같은 동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
과 수술
2023.12.03
PRK가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비슷해졌다. 시력교정을 위해 어떤 수술을 할 것인지는
안
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을 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무슨 병이든 치료를 시도했다가 후회를 하게 되면 인생 내내 마음이 편치 않을 수 있으므로 정보는 충분히 얻되 결정은 당사자가 심사숙고하여 직접 결정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이 중간부위를 잘라 버리면 뇌 기능은 감퇴할 수밖에 없다. 모니즈가 이런 방법을 고
안
한 것은 이 방법으로 정신과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사람의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인 뇌의 일부를 잘라버리는 것은 아주 위험할뿐 아니라 팔에 병이 생겼다고 팔을 잘라버리는 것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각질층의 수분량은 10~20%에 불과하고 피부 표면은 지질과 피지로 이뤄진 두께가 0.005㎜도
안
되는 아주 얇은 기름막으로 덮여 있다. 그럼에도 공기와 접한 면에서 증발이 일어나 수분이 손실된다. 다만 잃어버린 만큼 아래 표피에서 수분이 공급되므로 현상을 유지한다. 그런데 대기의 습도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