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작
집필
쓰기
작문
저서
작성
작품
스페셜
"
저술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학자들이 영국의 산업혁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현대문명의 단초가 산업혁명의 여파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 말은 산업혁명을 이끌어 준 역군이 있었다는 뜻인데 일반적으로 산업혁명이라면 제임스 와트(James Watt, 1736∼1819)의 증기기관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그것은 와트의 증 ... ...
새와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구독하고 있는데, 2월호에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다. 인지과학자인 캐럴린 스미스와 과학
저술
가인 사라 질린스키가 함께 쓴 글로 ‘Brainy Bird(똑똑한 새)’라는 제목이다. 그런데 이들이 말하는 똑똑한 새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까마귀나 앵무새가 아니라 바로 닭이다. 저자들에 따르면 사람들은 ... ...
[이달의 역사]적군도 친구도 예외 없는 도청의 세계 ①
KISTI
l
2013.12.13
500년 즈음 중국 춘추시대에 살았던 전략가 손무는 총 13편에 달하는 ‘손자병법’을
저술
해 전쟁에서 승리하는 갖가지 비결을 남겼다. 그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구절은 ‘지피지기 백전불태’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이다. 자신을 제대로 알려면 객관적인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재귀순환으로 대표되는 무한성)을 발견하고 작업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박사학위 내내
저술
작업을 병행했고 1977년 인디애나대 컴퓨터학과 교수로 자리잡은 뒤 마무리해 1979년 펴낸 것이다. 책의 5장 ‘재귀적인 구조와 재귀순환적인 과정’에 호프스태터 나비를 설명하는 부분이 나온다. 역자가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꽤 재미가 있어 다시 서평으로 돌아가 마저 읽어보고 결국 책(이북)을 샀다. 과학
저술
가 제시카 와프너가 쓴 ‘The Philadelphia Chromosome’은 손에서 책(이북리더)을 놓을 수 없을 정도로 흥미진진했다. 롤리 교수의 글을 틀로 하고 와프너의 책 내용으로 살을 붙여 필라델피아 염색체 발견에서 기적의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각광받고 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레이첼 카슨 환경윤리상, ‘거드 브라우먼 과학
저술
상, ‘유엔 환경계획(UNEP)의 과학과 혁신의 지구챔피언 상 등을 수상했다. 과학과 공학에서 자연모사공학이 주목받은 것은 최근이지만, 최근에야 그 이름이 붙었을 뿐, 사실 그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자연을 ... ...
"기초과학 연구지원 통해 창조경제 기여할 것"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원래 GRAST 원장으로서의 임기를 마치고 나면 공직생활을 마무리하고 남편과 함께
저술
이나 여행 등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기초연 원장으로 취임하게 되니 기초연에 대해 책임져야 할 나만의 소명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래전 국내 과학기술 발전에 봉사하겠다는 사명감으로 해외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참여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으나 과학 전문 언론과 정책전문기관이 공동으로 취재하고
저술
활동을 벌이고 결과를 정책 연구에 반영하는 모델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더사이언스는 현장의 과학자들과 정책 입안자, 정책 결정자 등 생명공학계는 물론 사회 각계 인사들을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world view)’이란 칼럼란에 재미있는 글이 실렸다. 과학기자를 하다가 지금은 과학
저술
가로 활약하고 있는 게리 토브스가 쓴 것인데 ‘비만은 물리학이 아닌 생리학으로 봐야 한다(Treat obesity as physiology, not physics)’는 알쏭달쏭한 제목이다. 토브스는 이 글 앞에 인용한 19세기 프랑스 생리학자 클로드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폰즈 역시 1998년 회사를 떠난 뒤 잠적했다. ‘네이처’ 9월 6일자에 부고를 쓴 과학
저술
가 필립 볼은 1989년 당시 ‘네이처’의 물리과학분과 편집자였는데 상온핵융합은 엉터리라는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197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영국 케임브리지대 브라이언 조셉슨 교수는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