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저술"(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있지 않을 것이다. 위키피디아의 글을 읽다보니 소머빌은 과학자로서보다는 과학저술가로 더 유명해 책을 여러 권 남겼다. 미국 인터넷 서점 아마존에서는 소머빌의 책들을 여전히 구매할 수 있다. 그 가운데 필자가 가장 재미있을 거라고 생각한, 소모빌 사후 2년 뒤에 출판된 ‘Personal Recollections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2008년부터 2014년까지 HFEA의 국장을 지낸 사람은 지난해 타계한 저명한 역사학자이자 저술가인 리사 자딘이다(자딘의 삶과 업적에 대해서는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참조). 이런 과정을 거쳐 이 기술이 안전하다고 판단한 HFEA는 2012년부터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2016.01.09
- ), ‘On a Grander Scale’(2002) 같은 과학자와 건축가(크리스토퍼 렌)의 전기도 있다. 자딘에게 저술가로 명성을 안겨준 대표작은 소비주의의 관점에서 르네상스를 재해석한 ‘Worldly Goods(상품의 역사)’(1996)로 그녀의 작품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어판(2003)이 나왔다(아쉽게도 현재 절판됐다). 런던대(UCL ...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2015.10.08
- 회원이 됐는데, 그해 11월 8일자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과학저술가 닉 자고르스키가 신입회원 산자르를 소개하는 글을 보면 이런 결심을 하게 된 계기가 꽤 재미있다. “(비틀즈의) 존 레논이 '왜 그렇게 미국에 가고 싶어 하느냐(마리화나를 피워서 입국이 금지됐다)'는 말을 들었을 때, ... ...
- 야생 침팬지의 냉장고를 부탁해KISTI l2015.09.01
- 요리를 잘하는 쪽에 높은 점수를 주는 게 당연하다. 18세기 영국 스코틀랜드의 법률가 겸 저술가 제임스 보즈웰(James Boswell)은 인간을 요리하는 동물(Cooking Animal)이라 정의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인류는 언제부터 요리를 시작했으며, 식재료를 지지고 볶고 굽고 찌고 삶고 끓이는 행위가 필요한 이유는 ... ...
- 병원체에 대한 고찰2015.06.22
- 미생물학자 폴 드 크루이프는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의 선구자다. 그가 1926년 발표한 책 ‘소설처럼 읽는 미생물 사냥꾼 이야기’는 18개 외국어로 번역됐다. 2005년 한글판도 나왔지만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된 상태라 중고책을 구입할 수 있을 뿐이다. 책은 현미경을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안톤 반 ...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2015.05.18
- 과학적 근거가 없고 이런 대표적인 예가 바로 홍역 백신이다. 영국 의사이자 과학저술가인 벤 골드에이커가 2008년 출간한 ‘배드 사이언스’에서 나쁜 과학의 마지막 사례로 든 게 바로 홍역 백신 논란이다. 16장 ‘백신을 접종하면 자폐증에 걸린다?’를 읽어보면 돈에 눈이 먼 한 의사가 쓴 엉터리 ...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생명체가 나올 수 없고 따라서 의식은 꿈도 못 꾼다. 영국의 생화학자이자 저명한 과학저술가인 닉 레인는 2009년 출간한 ‘생명의 도약’에서 “인간의 지능이나 의식과 같이 우리가 소중하게 여기며 우주 어딘가에서 찾고 있는 모든 특성이 한낱 세균에서는 결코 나타날 수 없다. 적어도 이는 ...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IBS l2015.01.16
- 왜 찍으려고 할까. 1조분의 1초의 분자 움직임을 보려면 맨 위에 조민행 단장이 2009년 저술한 '2차원 광학분광학(Two-Dimensional Optical Spectroscopy)'이 놓여 있다. 이 책은 다차원 분광학 분야에서 중요한 참고서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상현 "화학은 분자, 단백질, 핵산 등의 물질에 관심이 ...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KOITA l2015.01.05
- 과학기술 분야에서 20세기는 질풍노도의 시기였다. 20세기 직전에 이루어진 두 가지의 획기적인 발견 때문이다. 뢴트겐선(X선)과 방사선의 발견이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X선은 골절 부위나 부상자의 몸속에 박힌 파편, 유리 조각, 또는 어린아이가 우연히 삼 ... ...
이전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