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스페셜
"
조상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작물화와 관련된 변이를 찾았다. 먼저 단맛을 살펴보자. 각 종의 단맛을 보면 수박속의
조상
과 가까울 것으로 보이는 쓴사과멜론은 평균 1.6브랙스에 불과하지만 에구시멜론은 평균 3.4브릭스로 두 배 이상 높아졌다. 그럼에도 여전히 쓰거나 싱거운 맛이다. 반면 달콤한 수박 토종은 평균 8.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이제부터는 장마철을 보내며 다가오는 무더위를 생각하며 얼굴을 찌푸리는 대신 우리
조상
들을 떠올리며 미소를 머금게 되지 않을까. 참고로 장마전선 북방한계선 오르내림 500년 주기의 가장 큰 원인은 엘리뇨와 라니냐로 알려져 있다.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우주 생명체 '씨앗' 탄소 뿌리고 스러지는 백색왜성
연합뉴스
l
2020.07.07
재판매 및 DB 금지] 백색왜성이 우주 생명체의 필수 요소인 탄소(C)의 주요 원천으로,
조상
별의 질량이 태양의 1.5배 이상 돼야 이런 '기여'가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주의 모든 탄소 원자는 별 내부에서 헬륨 핵 3개가 융합해 만들어지지만, 그 원천이 표면층 물질을 항성풍으로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같은 작은 크기가 됐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최근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조상
의 모습과 가깝다고 본다. 하지만 2017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거대 바이러스가 고대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최근에 등장한 신종 바이러스라는 연구 결과가 실리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 인류 생존의 일등공신 '썰매개'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현생 썰매개가 유전적으로 연관성이 높아 고대 시베리아 썰매개가 현생 썰매개의 공통
조상
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여러 품종 가운데에서는 지역적으로 고립된 그린란드의 썰매개가 고대 시베리아 썰매개와 가장 유전적으로 비슷했다. 연구팀은 고대 시베리아 늑대에서 고대 및 현생 개로 ... ...
[게놈과 인류사]"한국인 주류, 남중국-동남아인의 복잡한 혼혈"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상당수도 게놈 분석에 따르면 ‘기원’은 동남아시아로 추정된다. 박 교수는 “이들의
조상
격인, 베이징 부근에서 발굴된 4만 년 전 인류 ‘티앤유안인’의 게놈은 현대인보다 오히려 신석기~철기 시대의 동남아시아인과 더 비슷하게 나타난다”며 “이들은 아시아와 시베리아 등 전역에 ... ...
[게놈과 인류사]3500년 전 우물서 생을 마감한 그녀에게 무슨 일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확보해 약 8500~3000년 전의 인구 흐름을 정밀하게 분석했다. 정 교수는 “유럽 농부의
조상
으로 추정되는 인류집단이 지금의 에게해에 존재했고, 지금의 이란과 이라크 지역 1500km에 걸쳐 있는 자그로스산맥 지역에도 다른 인류집단이 존재했다”며 “두 집단 사이에는 시석기시대인 8500년 전부터 ... ...
현생인류 유럽 진출 예상보다 더 일렀다…4만5000년 전후 생활도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거주하는 현대인의 유전형과 비슷해, 화석의 주인공들이 현대 유럽인들의 직접적인
조상
은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베이초 키로 동굴을 발굴하는 모습이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함께 출토된 유물도 분석했다. 동물은 바이슨(들소)과 사슴이 ... ...
약 300만년 전 인류의
조상
'루시' 두뇌 유인원에 더 가까워
연합뉴스
l
2020.04.02
점이 인간의 인지 기능과 사회적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인류의
조상
이 언제부터 이런 특징을 보여왔는지는 분명치 않다. 유인원 두뇌는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통합 중추인 두정엽(頭頂葉)과 후두엽(後頭葉) 조직에서 인간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데, 후두엽의 일차시각피질 ... ...
[인류와 질병]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의 기원
2020.03.07
아마 18세기 후반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소와 개가 걸리는 코로나바이러스의 공통
조상
분기는 195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간과 소가 걸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분기는 1890년경이다. 인간이 주로 걸리는 코로나바이러스는 인간코로나바이러스OC43이다. 알파코로나바이러스다. 흔히 말하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