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스페셜
"
조상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조상
추적해보니…코로나19, 2019년 11월 중국 우한서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중국에서 확인된 코로나19 바이러스 583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들 바이러스의 공통
조상
은 11월 중순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11월 4일까지 중국 내 코로나19 감염자 수는 1명 미만인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다 13일 후인 11월 17일에는 4명, 12월 1일에는 9명으로 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해독된 게놈을 바탕으로 구성한 매머드의 계통도다. 420만 년 전 아시아코끼리(E. maximus)
조상
과 남부매머드가 갈라졌다. 남부 매머드는 약 200만 년 전 털매머드(wolly mammoth)와 크레스토프카 계통으로 진화했고 약 42만 년 전 이들 사이의 잡종 종분화로 컬럼비아매머드(M. columbi)가 등장했다. 그 뒤 약 1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차이를 구분하는 것은 인간의 진화적 본성이다. 고양이와 호랑이를 차별 없이 대하던
조상
은 자손을 남기기 어려웠을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든 차이를 만들고, 집단을 구분한다. 기존의 차별이 사라진 곳에는, 새로운 차별이 등장할 것이다.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는다. 유연한 인간성을 너무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자연선택) 1966》 원서 표지 《적응과 자연선택》은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의
조상
격이라 할 수 있는 저작으로서 적응이 유전자의 이득을 위한 진화라고 설명한다. 자연선택의 수준이 집단이 아니라 유전자임을 천명한 것이다. 그러나 자연선택에 의한 적응은 최소한으로 최후의 수단으로써만 ... ...
中 우한 간 WHO조사단이 밝힌 '중요한 단서' 동물·인간 매개 흔적 찾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윈난성 박쥐에게 발견된 바이러스와 코로나19를 유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같은
조상
에서 나왔지만 실제 숙주가 따로 있을 가능성이다. 중간 매개 숙주로 천산갑이 지목되기도 했다. 중국 우한이 코로나19의 첫 집단발병지인 건 맞지만 바이러스 자체가 처음 발생한 곳은 아닐 수도 있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20주년 맞은 인간게놈프로젝트(HGP)의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평가했다. 다양성 부족은 인간게놈 분석의 한계 가져온다 사이언스는 “게놈이
조상
이나 지역에 따라 기원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전학 연구는 여전히 유럽인에게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유럽인의 게놈 데이터가 매우 크고 얻기가 쉬우며 연구비 지원도 더 잘 이뤄지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발현됐다. 1938년 실러캔스의 발견은 엄청난 사건이었음에도 현생 2종 모두 과거
조상
들이 살던 얕은 물을 떠나 깊은 바다로 침잠하면서 생태적으로는 의미가 반감했다. 반면 1837년 처음 보고됐지만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던 폐어는 여전히 물가에 살면서 물과 공기 모두에 적응한 생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보노보보다 관대하고 침팬지보다 사악한 '인간'
2021.01.19
보노보 무리의 모습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침팬지와 보노보는 90만~210만 년 전 공동
조상
에서 갈라졌다. 이 사이 보노보는 늑대에서 개가 나온 것처럼 온순한 유인원이 됐다. 그리고 보노보를 길들인 주체는 보노보 자신이다. 바로 ‘자기 길들이기’다. 철저한 수컷 중심 사회인 침팬지와는 달리 ... ...
[인간 행동의 진화] 영아살해
2021.01.10
죽었지만, 헤아리기 어려운 수의 아기는 부모의 손에 죽었다. 그런 비정한 선택을 한
조상
의 후예가 바로 우리다. 1세 미만의 아이는 살아도 산 것이 아니었다. 삼칠일이 지나야 세상을 볼 수 있었고, 백일이 지나야 겨우 이름을 얻었다. 심지어 왕의 아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돌이 지나야 겨우 세자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늘 나는 익룡의 초기
조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9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번 연구는 가장 오래된 비행 동물인 익룡과 가장 가까운 친척
조상
의 해부학적 유사성을 밝혀 향후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