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
2021.10.14
있다. 따라서 그 부분 바로 앞에 게놈 편집으로 염기를 바꿔 종결 코돈을 만들면 이
지점
에서 단백질 합성이 멈춘다. 즉 액셀만 있는 자동차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토마토에는 GAD 유전자가 5개 있는데 그 가운데 GAD2와 GAD3가 열매에서 발현된다. 따라서 두 유전자에 대해 각각 유전자 편집을 ... ...
지구방어 소행성 충돌 첫 시험 DART 우주선 내달 말 발사
연합뉴스
l
2021.10.06
뒤 태양광 패널을 펼치고 동력을 얻어 전기추진시스템으로 1년 가까이 순항하다가 충돌
지점
에 도달하게 된다. 과학자들은 DART 우주선의 충돌 충격으로 디모르포스의 움직임에 변화를 줄 수 있는지 관측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DART 우주선에 싣고갔다가 충돌 직전에 분리될 이탈리아우주국의 ... ...
접종률 82% 싱가포르와 부스터샷 선도국 이스라엘에선 왜 최다 확진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4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며 "단순히 백신 접종 완료율이 어느
지점
에 도달해야 집단면역이 가능해 방역 조치를 풀 수 있다고 단적으로 말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김우주 교수는 "백신 접종률만 높이면 '위드 코로나'가 된다는 환상은 오히려 방역을 방해하고 긴장감을 풀 수 ... ...
한국 달궤도선에 NASA ‘섀도캠’ 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것은 아니다. 지구는 미세한 타원형 궤도를 돌기 때문에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궤도
지점
에 있을 때는 약 8도에 해당되는 부분을 추가로 관측할 수도 있다. 대다수 천체가 그렇듯 달의 자전 운동은 달 생성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대 충돌 가설로 알려진 달 생성 가설은 약 4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푸딩 같기도, 태양계 같기도…원자모형의 진화
2021.09.18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러더퍼드의 원자모형은 원자를 설명하는 고전적인 물리학의 한계
지점
과도 같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려면 고전역학을 어떻게든 뛰어넘어야 한다. 즉, 양자역학적인 개념이 반드시 도입돼야 했다. ※참고자료 -《아원자입자의 발견》 스티븐 와인버그, 박배식 옮김 ... ...
한반도 지진 공포 불러온 경주지진 5년…지진 조기경보는 지금도 업그레이드중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진도는 지진이 전파되는 각 지역별 흔들림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진파가 전달된
지점
마다 다르다. 지진 자체가 갖는 에너지의 크기를 의미하는 규모와는 다른 개념이다. 박정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지진은 정보가 없거나 막연하기 때문에 두려운 ... ...
미 탐사선 퍼시비어런스, 화성에서 서류 가방 크기 암석 뚫어 시료 첫 채취
동아사이언스
l
2021.09.03
번째 시도 만에 시료 채취에 성공했다. 퍼시비어런스는 한 달 전 800m가량 떨어진
지점
에서 처음으로 암석 시료 채취에 나섰지만, 너무 무른 암석을 고른 탓에 암석이 가루로 부서지면서 시료를 채취하지 못하고 허무하게 끝났다. 루이스 얀두라 NASA 수석 엔지니어는 지난달 11일(현지 시간) NASA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상온 초전도체 시대 열릴까
2021.09.01
4.2K로 내려가는 순간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체가 되는 현상(이런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
을 초전도 임계온도라고 부른다)을 발견한 뒤 내로라하는 물리학자들이 이를 설명하는 이론 연구에 뛰어들었지만 다들 쓴맛을 보고 떠났다. 거의 반세기가 지난 1957년 미국 일리노이대 존 바딘 교수와 ... ...
D-60, 15년 미뤄진 인류 최대 우주망원경 마침내 발사장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STScl)가 JWST의 지상 관제를 맡아 경로를 모니터링한다. JWST는 목표
지점
에 날아가는 동안 접혀있던 길이 6.5m의 거대한 거울도 펼친다. 거울은 지름 1.32m인 육각형 거울 18개를 이어 붙인 독특한 구조로 JWST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거울 여러 개를 이어 붙인 것은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나오는 ... ...
[과학게시판] GIST, 2021학년도 하반기 학위 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관측 정보를 한눈에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해양기상정보포털에서 서비스한다. 원하는
지점
의 상세한 해무 정보를 시간과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해무 예측정보는 최대 48시간까지 1시간 간격으로 제공된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