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틀라스 혜성, 5천년 전 태양 방문한 혜성서 쪼개진 일부
연합뉴스
l
2021.08.20
혜성은 당시 태양에서 1억6천㎞ 이상 떨어진 곳에서 태양 쪽으로 이동 중이었다. 이
지점
은 모 혜성이 쪼개지기 전에 통과했던 곳보다 훨씬 더 바깥쪽에 있다. 예 박사는 "이 정도 거리에서 쪼개졌다면 5천 년 전 태양을 더 가까이서 통과할 때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큰 의문이 남는다"면서 "장주기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국제 사회는 허위정보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2021.08.18
있다. 머지않아 한국에서도 청소년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비슷한 일이 일어날 것이다. 이
지점
에서 ‘루머를 앞선 팩트’ 캠페인의 교훈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즉 백신 접종 관련 팩트체크가 완료된 허위정보를 국내는 물론 백신 접종이 늦어진 나라에 알리는 것이다. 그러면 허위정보 확산을 미리 ... ...
[표지로 읽는 과학] 날랜 다람쥐 나뭇가지 오가는 비밀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8
도약하는 장면 96회를 고속 카메라에 담아 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람쥐는 도약하는
지점
이 약하면 더욱 조심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고 있음을 발견했다. 다람쥐는 가지가 구부러져 있다면 구부러진 곳을 밟기 전에 먼저 뛰는 모습을 보였다. 밟다가 가지가 부러지기라도 하면 위험에 ... ...
암스트롱 태웠던 달 착륙선 '이글' 아직 달 궤도 돌고 있을 수도
연합뉴스
l
2021.08.02
착륙선은 이글호가 유일하다. 미도르 연구원은 처음에는 달 표면에서 이글호의 추락
지점
을 찾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으로 연구에 착수했다. 지난 2012년 NASA가 달 궤도에 위성을 보내 달의 상세한 중력장 변화를 파악한 '그레일(GRAIL) 프로젝트'의 자료와 행성이나 달 주변의 우주선 ... ...
"한국이 유인 우주탐사 소외되지 않으려면 두 번째 우주인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L4가 태양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관측과 코로나질량방출(CME) 등 우주기상 관측에 유리한
지점
이라며 이 지역에 위성을 보내면 한국의 심우주 탐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황 책임연구원은 “이곳에서의 연구를 통해 태양방사선 대비 역량을 높일 수 있고 태양에서 CME 등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지각 두께를 최소 20km에서 최대 72km 정도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인사이트의 착륙
지점
바로 밑 지각의 두께가 약 8km인 층과 두께 약 12km정도의 층이 있고 그 아래 19km 두께로 같은 지각이거나 암석층인 맨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지구 지각 두께는 바다판에서는 약 5~10km, 대륙판에서 40~50km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되는 이른바 특이점이 있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수학적인 기술로는 설명할 수 없는
지점
이 존재한다. 이는 중력붕괴를 겪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영국의 로저 펜로즈는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로 202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사건의 지평선을 지나 특이점에 도달하는 ... ...
블루오리진과 버진갤럭틱 우주관광 뭐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탄 유인 캡슐을 발사체에 싣고 지상에 설치된 발사대에서 수직으로 날아오른 이후 목표
지점
에서 유인 캡슐을 분리해 고도 100km 안팎의 준궤도 이상 오르는 발사체다. 이날 베이조스가 탑승한 뉴 셰퍼트 크루 캡슐은 해발 고도로 107km까지 올랐다. 반면 비행기 모양의 VSS 유니티는 모선에 매달려 ... ...
11분간 짧은 우주여행, 무중력 3분 체험하며 지구 내려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가속한다. 탑승자들은 지구 중력의 3배를 몸으로 느끼게 된다. 3분이 지나면 고도 76km
지점
에서 캡슐이 발사체에서 분리된다. 탑승자들이 무중력을 느끼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이때 탑승자들은 벨트를 풀고 무중력을 만끽하게 된다. 가로 107cm, 세로 71cm의 창을 통해 지구와 우주의 아름다운 광경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찾았고 2018년 허베이지질대에 기증했다. 아쉽게도 인부는 두개골을 발견한 정확한
지점
을 얘기하지 않았다. 화석의 결정적인 정보 하나가 빠졌다는 말이다. 허베이지질대 연구자들은 영국의 저명한 고인류학자와 호주의 연대측정 전문가와 함께 두개골과 쑹화강 철교 주변 지질을 조사해 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