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이야깃거리
테마
이야기거리
화젯거리
소문
과제
스페셜
"
화제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버드대1위,스탠퍼드대·막스플랑크연구소 공동2위…역대 노벨상 수상자 소속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9.22
막을 내린다. 과학 분야에서 그 동안의 수상 현황을 살펴보고 올해는 어떤 이슈가
화제
가 될지 짚어봤다. 16일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노벨과학상 수상자 통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노벨상 과학 부문 수상자는 총 607명이었다. 분야별로는 생리의학상이 216명으로 가장 많았고, ... ...
'블랙홀 그림자' 관측한 과학자들 노벨상 받을 수 있을까 …올해 노벨상 관전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2
“빨리 변하길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여성 과학자 수상 여부는 올해도 여전히
화제
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성 수상자는 전체의 3%인 20명에 불과해 여전히 견고한 유리천장이 존재함을 증명해 주고 있다. 다만 2000년 이후에 9명이 집중적으로 나오면서 거의 2년에 한 번꼴로 수상자를 ... ...
350년 전통 일본 섬유소재 기업도, 해군 특수부대도 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제외한 가운데 350년 전통의 일본 섬유기업이 국내 섬유소재 기업에 ‘러브콜’을 보내
화제
다. 주인공은 경기도 수원시 광교 테크노파크 소재 TFJ글로벌이다. 이 회사는 친환경 발수 소재 기술력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 문을 노크하고 있다. 지난 3일 경기도 광교 테크노파크에서 만난 진의규 ... ...
스타벅스가 문두드린 '에코매스' 생분해성플라스틱 시장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물성을 개선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적절한 상용
화제
를 찾아내고 자체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단순히 연구개발과 기술 지원에 그치는 게 아니라 관련 분야 글로벌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각종 친환경 제품 전시회에서 쌓은 경험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채웠다. 그 이유를 묻는 기자에게 트뤼도 총리는, “지금은 2015년이니까요”라고 대답해
화제
가 됐다. 21세기, 여성권에 대해 의문을 품는 사람은 민주사회의 구성원이 될 자격이 없다는 의미다. 그런 인권국가 캐나다에서도 여전히 과학기술계에는 여성차별이 존재한다. 2019년 캐나다 라발대 홀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채취한 토양 시료에 존재하는 아스가드 고세균을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해
화제
가 되고 있다. '네이처' 제공 얼마 전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뒤적이던 필자는 이달 15일자 기사를 보고 눈이 번뜩 뜨였다. 일본 과학자들이 무려 12년에 걸친 각고의 노력 끝에 아스가드(Asgard) 고세균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 바지 입고 힘 덜 들이고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연구진은 무거운 물건을 드는 데 도움을 주는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해
화제
를 모으기도 했다. 이들은 특정 목적에 적합한 웨어러블 로봇으로 걷기와 달리기를 동시에 보조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은 아직 없다. 코너 월시 미국 하버드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이기욱 중앙대 기계공학과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여전하다. mbc 제공 지난 2007년 방영된 드라마 ‘고맙습니다’는 특이한 소재를 다뤄 당시
화제
가 됐다. 미혼모 영신(공효진)은 치매에 걸린 할아버지 병국(신구), 딸 봄(서신애)과 함께 푸른도(신안 화도)에 살고 있다. 봄은 수년 전 수술을 받다 의료진의 실수로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흔히 에이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2013년 발표한 허블상수가 67.8로 꽤 작게 나와
화제
가 됐다. ESA 제공 그런데 우주론 진영에서 허블상수 계산에 뛰어들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1948년 소련 출신의 물리학자 조지 가모프는 대학원생 랠프 앨퍼와 함께 훗날 빅뱅이론으로 불리게 될 주장을 담은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심우주로 유인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지구로 귀환한 것은 세계 최초다. 당시 이토카와에서 미립자 2만 5143개를 가져와
화제
가 됐다. 지난 5월에는 미립자 표본을 분석해 이토카와에 물이 풍부하게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되기도 했다. 당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표본 5개 중 2개에 물을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