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이야깃거리
테마
이야기거리
화젯거리
소문
과제
스페셜
"
화제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위험으로부터 가장 안전한 외출복
팝뉴스
l
2020.04.15
외출복을 입고 마트에 나온 사람의 모습이다. 미국의 한 사진 공유 사이트에 공개되어 큰
화제
가 되었다. 사진 속 사람은 스쿠버 다이빙 복장을 했다. 물이 새지 않는다. 또 호흡도 산소통을 이용해서 하게 되어 있다. 결국 사람들이 많은 마트 공간과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비말 따위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명곡 ‘사랑은 눈물의 씨앗’(1969년 발표)을 구슬프게 부른다. ‘미스터트롯’이 장안의
화제
라 도대체 무슨 프로그램일까 궁금해서 봤는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 뒤 경연이 끝날 때까지 챙겨보면서 어느새 트롯 감상이 취미가 됐다. 미스터트롯에서 불린 노래 가운데 다수는 필자가 어릴 때와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는 어떻게 인간에게 옮겨왔나
2020.04.03
. 천산갑 바이러스 인간 탐욕에 경고장? 요즘 한국 드라마 ‘킹덤’이 전 세계적으로
화제
다. 좀비와 전염병, 인간의 탐욕과 권력이 이야기의 주요 모티브다. 탐욕에 의한 괴물의 탄생, 식인으로 인한 전염, 역병의 공격과 인간의 대처를 보노라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움에 처한 현실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방법
2020.02.29
미쳐 진실을 숨기고 있다는 주장을 하는 경우도 여기에 속한다. ⑥ 미끼를 던져 없던
화제
를 만들어내는 등 낚시하기. 늑대가 나타났다는 식의 말 지어내기. 연구자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위의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가짜뉴스를 퍼트리고 많은 영향력을 얻을 때마다 배지를 수여했다. 예컨대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봤듯이 이는 섣부른 환상에 불과하다. 언젠가 국내 학회에 갔더니 점심시간 사람들의
화제
가 온통 주식투자로 큰 수익을 올렸다는 아무개의 스토리였다. 수다에 동참한 물리학자들 대부분은 크든 작든 주식투자에서 손해를 봤다고 실토했다. 물리학자들은 대체로 세상만사에 아는 체 하길 ... ...
모터쇼를 넘어선 CES…자동차만 있으면 밋밋하다
연합뉴스
l
2020.01.08
해프닝도 있었다. 현대차 옆인 메르세데스-벤츠 전시관에는 '비전 AVTR' 쇼카가
화제
였다. 올라 칼레니우스 다임러 AG 및 메르세데스-벤츠 AG 이사회 의장이 6일(현지시간) 'CES 2020' 기조연설에서 공개한 비전 AVTR은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영화 '아바타'에서 영감을 얻은 자율주행 콘셉트카다. ... ...
삼성·LG, 국제무대서 '2020 가전' 펼친다…CES 한 달 앞으로
연합뉴스
l
2020.01.01
TV…이번엔 8K TV '격돌' 10년 전 열린 'CES 2010'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3D TV 접전'이
화제
였다. 삼성은 부스 한쪽에 55인치 3D LED TV 9대씩 총 36대로 4면을 구성한 '3D 큐브'를 설치했고, LG전자는 150인치 대화면의 3D 프로젝터로 시선을 끌었다. 여기에 소니까지 3D TV 경쟁에 합류하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고(古)유전학자 비비안 슬론 박사는 지난해 ‘네이처’가 선정한 ‘2018 과학계
화제
의 인물 톱 10’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런데 논문의 공동 저자 가운데 이 발견의 숨은 공로자가 있다. 바로 사만다 브라운이다. 뼛조각 2315개 가운데 사람 뼈는 하나뿐 이야기는 2015년 독일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제공 올해 노벨상 수상자 발표 기간 중 한 장의 사진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
가 됐다. 세포가 저산소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과정을 밝힌 피터 랫클리프 영국 프랜시스 크릭연구소 교수가 1992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보냈다 퇴짜를 맞고 받은 편지 사진이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에서는 애니메이션으로 처리했다. 리메이크작은 한국에서도 미국과 큰 시차 없이 방송돼
화제
가 되기도 했었다. 재미있게도 1편이 방송된 뒤에 영국의 가디언 지에서 '코스모스'가 다룬 브루노를 비판하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다. 레베카 히기트가 쓴 이 기사의 제목은 “코스모스와 조르다노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