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앓고 있을 확률은 0.0000001로 0.00001%의 확률밖에 되지 않는다. 검사의 정확도를 50%로 낮춰 계산해도 0.001% 정도로 굉장히 낮은 값을 보인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확률로, 확률값이 0이 아닌 이상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병을 앓고 있을 수 있다.희박한 경우이긴 하지만 의사요한에서도 박정보 ...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실험했어요. 이전까지는 과학자들이 초파리가 가만히 있을 때를 잠자는 시간으로 계산한 것과 달리, 연구팀은 가만히 있는 초파리의 활동도 세세하게 구별했지요. 그 결과 수컷 초파리들은 평균 10시간 18분, 암컷 초파리들은 평균 5시간 정도 자는 것으로 밝혀졌답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 ...
- ‘몸짱’ 되려다 근육통 얻는다 보충제와 근이완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20mg/kg/day), 보통 한 정에 200~250 mg이므로 한 정씩 1일 3~4회 복용할 수 있습니다.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약사에게 상담 후 구입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 물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약학 정보를 쉽게 널리 알리기 위해 블로그와 ... ...
- [과학뉴스] 열대 지방의 배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관측 결과를 종합해 2009~2017년 열대 지방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과 배출량을 계산했다. 그 결과 아시아, 호주, 남아메리카의 열대 지방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과 달리, 열대 아프리카는 오히려 매년 약 12억5000만kg의 이산화탄소를 내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폴 팔머 에든버러대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찾은 증거가 단층에 어떤 힘을 주어서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정확하게 물리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야 해요. 그래야 땅속에 응력이 어느 정도 있을 때 얼마만큼의 힘을 더 주면 지진이 발생하는지 예측해 지진을 막을 수 있을 테니까요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새로운 방정식의 우수성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아직 과제는 남아있습니다. 기하학적 계산을 통해 식물이 어떻게 자랄지 예상할 수는 있지만, 왜 그런 모양으로 자라는지는 여전히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이죠. 식물들은 왜 피보나치 수열을 좋아하는 걸까요? 여러분도 가까이 있는 식물의 ... ...
- 고교급식왕, 급식의 과학적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만족시킨다”고 설명했다.NEIS 급식 시스템을 활용하면 기본 영양소와 열량이 바로 계산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신 영양사는 “최근 우유 급식을 없앴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급식 메뉴의 밥을 일반 백미 대신 칼슘쌀로 바꿨다”며 “이런 부분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는 해결할 수 ... ...
- [포토뉴스] 바다 생태계 균형 수학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잘 유지하도록 어획량을 계획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적정한 어획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여러 생물 종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와 생태계 전체가 어떻게 기능하는지입니다. 플랭크 교수는 전체 생태계의 어종이 포식자와 피식자로 이뤄져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우리 실정에 맞게 말이오.김담 칠정산외편의 경우 수시력보다 더 정확하지요. 2019년에 계산한 1년은 정확히 365일 5시간 48분 46초인데 이 수치와 비교했을 때 단 1초만 느리지요. 이게 가능한 이유요? 이순지 뛰어난 수학 실력 덕분이지요. 또 이 같은 노력으로 조선의 천문학 체계가 수립된 거라오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고양이와 강아지를 구분하는 임무를 정말 힘들어했습니다. 컴퓨터는 논리적인 추론(계산)을 통해 결론을 내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고양이와 강아지의 형태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습니다. 둘 다 털이 많고, 네 다리로 걸으며, 꼬리를 흔들고, 귀도 쫑긋합니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