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클수록 더 많이 휘는데, 은하단을 통과하는 빛이 우리가 관측한 은하단의 질량으로 계산한 것보다 훨씬 많이 휜다. 이를 통해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거대한 질량의 암흑물질이 은하단을 가득 메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은하은하는 항성과 성간물질, 그리고 암흑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분자를 넣을지 결정할 때 기초적인 기하학적 지식을 많이 활용해요. 부피와 표면적을 계산해야 할 때도 있고요. 그린 그림이 얼마나 실제와 유사한지 분석하기 위해 통계학도 활용하죠. Q화가가 되고 싶지는 않았나요?저는 언제나 과학자를 꿈꿔 왔어요. 취미인 그림 그리기와 과학을 함께 할 수 ... ...
- 모두의 N-S 방정식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속 물결은 이제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워질 거고, 저 멀리 목성의 대반점이 어떻게 변할지 계산하는 것은 물론 은하의 흐름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속도를 올려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 자동차나 난류에도 안정적인 비행기를 설계할 수 있고, 무엇보다 더 이상 일기예보를 보고 챙겨나간 우산을 ...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다항식이 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했던 기존 방식이 복잡한 문제를 계산하는 것이었다면,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풀기 쉬운 여러 개의 식을 연립해서 푸는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이 방식을 이용하면 훨씬 빠르게 다항식이 음이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죠.연구에 ... ...
- 후보5. 실시간 계산 능력은 정어리가 최고!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물고기에게 잡히지 않기 위해 실시간으로 계산해 움직이기 때문이에요. 컴퓨터보다 빠른 계산 실력을 자랑하는 우리가 바로 수학왕 아닐까요? 사자, 원숭이, 사슴 등 무리지어 생활하는 동물은 많습니다. 터전을 옮기거나 먹이를 찾을 때 그리고 적과 싸울 때도 무리를 지어 행동하죠. 몸집이 작은 ... ...
- [수학미술관]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수학! 더 뮤즈 : 드가 to 가우디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게 아닙니다. 가우디가 설계를 할 때 고정점의 위치와 구조물의 무게 등을 수학적으로 계산해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건축물을 지을 수 있던 것이지요.지금 소개한 사람 외에도 19세기 예술가들의 작품에서는 더 다양한 수학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과학과 수학의 발전이 미술사까지 영향을 줬다니 ... ...
- 아폴로 11, 연습만이 살 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구와 중력이 달라 지구보다 시간이 느리다는 것이 문제였다. 과학자들은 정밀하게 계산했지만,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해 0.32초의 오차가 생겼다. 불과 1초도 되지 않는 사소한 차이였지만, 이는 예상 착륙 지점이 수백 m 달라지는 결과를 불렀다a. 당초 평평한 지대인 고요의 바다에 착륙하려고 ...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부른다.툴리 교수는 처녀자리 초은하단을 포함한 주변 초은하단의 특이속도를 계산한 결과, 세 개의 초은하단이 하나의 거대인력체에 이끌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2014년 툴리 교수는 세 개의 초은하단을 묶어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이라 명명하고, 초은하단을 새롭게 정의했다. 기존의 처녀자리 ... ...
- 질서┃우주 동결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밀도가 지금과 비슷하게 유지된다면, 즉 우주 팽창의 가속화가 지금과 같다면 계산은 비교적 간단하다. 이정도 우주 팽창 속도로 은하가 분해되지는 않는다. 다만 은하 사이의 간격은 점점 벌어진다. 그렇게 2000억 년 쯤 지나면,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안에는 우리은하와 이웃한 안드로메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풍속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적었어요. 아두이노를 통해 계산된 값은 ‘기온 4.2℃, 풍속 19.8km/h, 1121RPM’이었지요. 계산된 풍속은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나요. 먼저 1시간 동안 몇 km를 움직일 수 있는지 나타내는 km/h 방식과 풍속계가 1분 동안 몇 번 회전하는지를 나타내는 RPM이었지요. 또 이를 바탕으로 바람의 세기를 등급으로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