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다르게 9×9=81, 8×9=72, 7×9=63 같은 순서로 표기했고, 특히 8×9=9×8처럼 위에서 한 번 등장한 계산은 생략하는 효율적인 표기법을 도입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래 단계로 내려올수록 표기할 숫자가 줄어들어 자연스럽게 역삼각형 모양이 만들어졌습니다. 목간 모양이 우연히 삼각형 모양이 아니라 ... ...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이때 다음 식을 사용하면 각 점의 조직원을 검거하는 데 따른 네트워크 붕괴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답니다! 절단 집합을 찾아라!확률을 구하는 식에 들어간 ‘절단 집합’을 설명하기 위해 잔디에 물을 주는 상황으로 돌아가겠습니다. 물이 잔디밭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려면 어느 꼭지를 잠가야 ... ...
- Step3. 수학으로 예보 정확도 높인다! ‘자료 동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값(C)이 정확할 확률이 70%, 실제 측정한 값(O)이 정확할 확률이 30%라고 한다면 다음 식으로 계산해 새로운 데이터 Cnew를 얻습니다. 이 값을 다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변수에 대입해 예보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는 거지요. 마찬가지로 방정식에 필요한 상수, 계수 값도 조정해 실제와 조금 더 ... ...
- [스타쌤의 꿀팁] 야구 보며 수학 공부한다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안타를 칠 확률은 다른 타석에서 벌어진 사건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니 덧셈정리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세 번의 땅볼 타구에서 이 선수가 공을 좌측으로 보내 한 번 이상 안타를 만들어 낼 확률은 ‘좌측타구 확률+좌측타구 확률+좌측타구 확률’이므로 13.9%+13.9%+13.9%=41.7%다!이날 진행된 강의는 ... ...
- 최고의 데이터 요리사는 누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분석하고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학교 통계 교육도 계산과 이론 위주에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쪽으로 바뀌었죠.아무리 값비싼 요리 재료가 있어도 요리 실력이 형편없으면 맛없는 음식이 되는 것처럼 모은 데이터를 제대로 분석하고 활용하지 못하면 ... ...
-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열량이 약 9kcal/g,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열량이 각각 4kcal/g, 그리고 1cal가 4.19J임을 고려해 계산하면, 지방(5.68×1010kg)과 단백질(9.46×1010kg), 탄수화물(1.42×1010kg)을 연소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각각 2.14×1018J, 1.59×1018J 그리고 2.38×1017J이 된다. 따라서 이를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추론 능력이 약하다는 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팀은 1을 하나씩 늘리면서 더한 값을 계산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1이 6개로 늘어날 때까지는 정답을 잘 맞히더니, 7개가 되자 엉뚱한 답인 6을 내놓았습니다. 사람은 1이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답할 수도 하나씩 커진다는 사실을 쉽게 추론하는데, ... ...
- [SW 진로체험]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영상만든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VFX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입자 하나하나의 움직임을 여러 수식을 이용해 컴퓨터로 계산하고, 시간에 따른 수많은 장면으로 나누죠. 장면을 연속적으로 연결해 렌더링하면 물의 영상이 만들어집니다. 물 같은 유체의 경우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나비에-스토크스 ...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책임연구원은 “달의 중력권에 포획되기 위해서는 지구의 중력과 달의 중력을 정교하게 계산해야 한다”며 “민간 기업이 제한된 자원을 이용해 달 궤도에 진입하고 궤도에서 무사히 탈출해 달 표면 근처까지 접근했다는 건 대단한 성과”라고 말했다. 그는 달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여러 ... ...
- [따끈따끈한 수학] 큰 수의 곱셈을 더 빠르게, 쇤하게-슈트라센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더 계산합니다. n자리 숫자의 덧셈은 어떨까요? 받아 올림을 빼고 생각하면 많아야 2n번 계산하면 됩니다. 받아 올림까지 고려해도 넉넉잡아 3n번이면 충분하죠. 곱셈의 경우는 어떨까요? 초등학교에서 배운 그 방법, 수천 년 이상 인류가 사용해온 그 방법대로 구해봅시다. 12×23은 2×3, 1×3, 2×2, 1×2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