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각"(으)로 총 1,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좌우의 사각진은 대칭변환한다. 초보적인 원리에서는 중앙 사각진에 인접한 외부 사각진의 개수가 홀수/짝수에 따라 다른 풀이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지원씨는 홀수/짝수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일반원리도 발견해냈다. 이는 독자들의 탐구를 위해 남겨두기로 한다.3. 복합진 - 낙서구구도 ...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볼 때 아주 작다. 사람의 잇몸과 입천장은 넓은 포물선형인 반면, 유인원은 길고 좁은 사각형(U형)으로 앞쪽 두 귀퉁이에 커다란 송곳니가 튀어나와 있다. 중추신경굼(척추신경 안에 있는 구멍)은 유인원의 경우 머리 뒤쪽으로 나 있지만, 사람은 머리밑에 위치하고 있다.사지뼈에서는 더욱 뚜렷한 ...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이달 한밤 남쪽 하늘을 올려보면 비스듬히 한 줄로 늘어선 3개의 별과 그것을 둘러싸는 직사각형이 보이는데, 이 별자리가 신화 속의 사냥꾼 오리온자리이다. 겨울의 별자리는 오리온자리가 가장 눈에 띄며 다른 별자리를 찾는 좋은 기준이 된다. 오리온자리의 북서 방향으로 눈을 돌리면 머리 위 ...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안드로메다 은하가 있다. 이것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페가수스 사각형을 찾은 뒤, 사각형을 이루는 별 중 북동쪽 모서리에 있는 2등성 안드로메다자리의 알파(α)별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북동쪽을 향해 2등성 4개가 12-15도 간격으로 거대한 국자 손잡이모양으로 이어져 있는데, 이중 첫번째 2등성이 ...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과학동아 l1999년 10호
- 남쪽에 알파별이 있어 별자리를 그려보기가 조금 쉬울 것 같다.알파별에서 페가수스자리 사각형 바로 아래를 따라가 보면 오각형의 별무리를 찾을 수 있다. 이것이 두 마리의 물고기 가운데 서쪽 물고기이다. 다시 알파별에서 목성이 있는 북서쪽으로 올라가면 북쪽 물고기에 이른다. 알파별 알리샤 ...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있다. 이와 달리 유인원은 턱이 길고, 양쪽으로 늘어선 이빨들이 서로 평형해 앞니들과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그때까지 발견된 자바인, 하이델베르크인의 화석들은 이러한 유인원의 특징을 조금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1912년 영국의 아마추어 과학자 찰스 도슨은 필트다운에서 사람과 ... ...
- 실험실은 동물보호 사각지대과학동아 l1999년 09호
- 비만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정상에 비해 2배 이상 뚱뚱한 쥐, 암 연구를 위해 개발된 면역성 없는 누드쥐, 간질병에 걸려 1시간에 1백번 이상 발작을 일으키는 쥐. 최근 미국의 한 실험동물연구소에서 ‘상품’으로 선보인 대표적인 쥐들이다. 연구소는 이들을 포함한 6백여 종류의 돌연변이 쥐를 개 ...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자세가 회전 관성을 최소로 하기 때문에 그만큼 쉽다.피겨스케이팅 선수가 손을 모을 때사각의 스프링 그물 같은 곳에서 뛰다가 몸을 회전시키는 트램폴린을 할 때도 기본 요령은 뛰어 오르면서 몸을 재빨리 둥글게 구부리는 것이다. 그래야 회전 관성이 작아져 몸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2단 ... ...
-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1999년 07호
- 황금비를 이루는 종이나 책을 찾아보기 쉬운 것도 아니다. 실제로 황금비를 이루는 직사각형을 그려보면 이것이 매우 길다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이다. ‘수학적으로’ 만들어진 종이인 A판과 B판이 현대적 황금비가 아닐까.$\sqrt{2}$는 입에 담지 못할 수한때 $\sqrt{2}$는 환영받지 못한 수였다. '수는 ...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있어 그의 수학실력에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지수귀문도의 비밀서양의 경우 마방진처럼 사각형 형태의 직교형 배열에 집중한 것인 반면 동양에서는 방진 외에도 원형, 십자형, 거북등형 등 다양한 형태의 숫자배열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것은 대표적으로 양휘와 최석정의 책에서 잘 볼 수 있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