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너
구역
사각지대
경각
d라이브러리
"
사각
"(으)로 총 1,298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같은 하나의 물질이 된 것이다.스텔라의 ‘인도의 왕후’(28)를 보자.이전에 보던
사각
형의 그림이 아니다. 그림이 휘어지기도 하고 꺾어지기도 하고 별의별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스텔라의 이런 그림을 세이프드 회화(Shaped Painting)라고 부른다. 스텔라는 왜 이러한 그림을 그렸을까? 사실 그의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음향이 아름답고 뛰어난 이유는 무엇일까.첫째는 홀의 형태이다. 이 홀들은 전형적인 직
사각
형의 평면에 직육면체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형태는 천장이 높고 홀의 폭이 좁아서 측벽을 통한 음의 강한 반사가 빠른 시간 내에 객석에 도달하고, 객석수에 비해 공간의 체적이 커서 긴 잔향시간을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루어진 골조와 함께 고층건물에서 횡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기능을 담당한다.셋째
사각
형 골조의 수평 부재인 보와 수직부재인 기둥의 접합부를 강하게 만들어 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른 것에 비해 다소 효과가 떨어지지만 원래의 건축공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상징하는 천체 지도이다. 이집트인들은 네 개의 정삼각형을 52도로 세워 피라미드라는 정
사각
뿔을 만들어 그 무게 중심에 우주의 에너지를 모았다. 영국의 고대인들은 네 개의 정삼각형을 평면 위에서 돌려 육각형과 십이각형으로 구성되는 동심원 구도를 만들어 태양의 궤적을 읽어내고 자연의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즉 무지개가 원형인 이유는 물방울이 원형이기 때문이다. 만약 물방울이 원형이 아닌
사각
형이나 삼각형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모양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해가 지평선에 걸려있고 빗방울들이 관찰자로부터 1km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하자. 관찰자보다 730m 높이에 있는 물방울에서 나오는 빛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2개의 선분으로 분할되고 2차원 정
사각
형은 각각의 선분을 이등분하면 4개의 정
사각
형으로 쪼개진다. 3차원 정육면체를 각각의 선분을 이등분하면 8개의 정육면체가 생긴다. 직선, 평면, 입체를 $\frac{1}{2}$의 비율의 닮은 꼴로 나누었을 때 나뉘어지는 조각의 개수 N은 다음과 같다. 1차원일 경우 N=2=${2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과거 그리스 시대에 농토의 경지정리를 위해서 땅의 모양에 따라 제각각이었던 농경지를
사각
형과 같은 정리하기가 쉬운 모양으로 고치려는 데서 그 유래를 연결지을 수도 있겠지만, 한 천문학자의 개인적인 궁금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주장처럼 생활과는 별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배적문제의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학파는 수(數)를 만물의 근본으로 파악했다. 이들은 자연계의 물질을 삼각형이나
사각
형 같은 기하학적 도형으로 표현했을 뿐 아니라 각 수에 윤리적 의미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홀수는 선하고 짝수는 악하다고 규정했으며, 6은 결혼의 수로서 여성수 2에 남성수 3을 곱한 값이라고 생각했다.문제는 ... ...
가을밤에 만난 이웃 은하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텅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하늘의 상태가 아주 좋은 산 위에서 관찰하면 대
사각
형 속에서는 30개 이상의 별을 찾을 수 있다.중국에선 알파별, 베타별을 28수의 13번째 별자리인 실(室)자리로, 감마별과 안드로메다자리 알파별을 14번째인 벽(壁)자리로 부르며 이 사변형을 ‘하늘의 ... ...
파이(π)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그러나 이내 유리수가 아닌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를 테면 한 변이 1인 정
사각
형의 대각선 길이는 유리수로 나타낼 수 없다. 이처럼 두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없는 수를 무리수라고 한다.여기서 무리수는 순환하지 않는 무한 소수를 가리킨다. 그러나 무리수라고 해서 대수 방정식의 근이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