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어떤가요?뇌-컴퓨터 접속기술은 수많은 뇌 신호와 뇌 영상 자료를 처리해야 하는 만큼
인공
지능(AI)의 딥러닝 알고리즘이 활용됩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이 올해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언어 합성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연구팀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신호를 해석해 다시 빠르게 스마트폰에 보내는 거지. 그래서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인공
지능 비서도 동작하지 않는 거야.미래에 양자컴퓨터가 상용화 돼도 집에 둘 필요는 없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대기업이 가진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쓸 테니까! Q‘53 큐비트’의 53은 어떤 뜻인가요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지켜보자고요! ●미래의 빅데이터 활용, AI 학습을 통해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인공
지능(AI) 학습법인 ‘딥러닝’을 빅데이터 분석에 적용하면 그동안 측정하지 못했던 데이터도 새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AI가 교통 빅데이터를 학습하도록 하면 실제로 측정하지 않은 도로 구간의 ... ...
프랑켄슈타인 가능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장치를 연결했어요. 이를 통해 보존제와 안정제, 산소 등이 들어있는
인공
혈액을 주입했지요. 그 결과, 뇌세포 중 일부는 살아있을 때처럼 포도당을 사용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세포호흡을 했어요. 혈관 구조도 회복됐지요. 하지만 신경세포들끼리 신호를 주고받는 것은 발견하지 못했지요. ... ...
[과학뉴스]
인공
지능(AI)으로 초압축성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연구팀이
인공
지능(AI)을 이용해 새로운 초압축성 신소재를 개발했다.미구엘 베사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재료공학과 교수팀은 사람이 별도의 실험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고 AI의 기계학습만으로 새롭고 강력한 초압축성 재료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0월 14일자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아래턱의 치아를 관찰한 결과 크라운(치과 치료 후 치아가 손상되지 않도록 치아를
인공
틀로 씌우는 시술) 등 치과 치료 흔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발견된 턱뼈의 치료 흔적과 위치 등을 치과 진료기록 및 치아 X선 촬영 사진과 비교하면 동일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일치하는 기록을 찾지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내내 여기저기서 목격됐습니다. 5월 열린 구글 심포지엄에서 하트무트 네벤 구글 양자
인공
지능연구실장은 “양자컴퓨터의 정보 처리 능력은 기존에 무어의 법칙처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이중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네벤은 6월 미국의 ... ...
아픈 돼지 고르는 안면 인식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중국에서
인공
지능(AI) 돼지 안면 인식 기술을 시험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중국으로 떠났어요. 비행기를 타고 중국 쓰촨성에 도착했어요. 중국 전체 돼지의 3분의 1을 살처분해서 그런지 으스스한 느낌이 들었죠.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대표적으로는 탄소-수소 결합을 탄소-산소 결합으로 산화시키는 반응과 천연고무를
인공
적으로 합성할 때 사용하는 촉매를 철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있다. 그동안 철은 현대문명의 핵심 원소로서 인류가 윤택한 삶은 누리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원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록 산업혁명 ... ...
[Q&A] 아프리카돼지열병 팩트체크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아프리카와 달리 한국에서는 공장식으로 돼지를 사육하면서 자연적인 교배가 아니라
인공
적인 교배를 통해 번식하기 때문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풍토병화 돼서 돼지가 전멸하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야생 멧돼지가 만성적인 감염 상태가 돼서 지속적으로 비이러스를 전파하게 될 가능성은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