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d라이브러리
"
초기
"(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마이크로파로 변한 게 우주배경복사다. 이 빛의 분포를 관측하면 별도 태어나지 않은
초기
우주의 모습을 연구할 수 있다. 2010년 7월에는 임무 시작 이후 처음으로 전체 하늘의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현재 플랑크는 하늘 전체를 고주파(100~850GHz)와 저주파(30~70GHz)로 나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비교적 최근에 생긴 것으로 드러났다. 팬과 다프니스가 있는 부분의 행성 고리 역시
초기
태양계 시절에 생긴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가설2. 행성 고리의 정체는 깨진 혜성이다또 다른 가설은 혜성이나 소행성 같은 천체가 행성으로 날아와 깨지면서 고리가 됐다는 것이다. 2009년 북아일랜드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연구를 보여 달라는 요청에 허호길 연구소장이 꺼낸 것은 세라믹 필터였다. 얼핏 보기엔
초기
인류나 썼을 법한 평범하고 투박한 모양의 진흙 토기였다.“겉보기엔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 안에는 개발도상국의 수많은 사람들을 살릴 기술이 담겨 있습니다.” 어리둥절한 표정을 읽었는지 허 소장이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그러나 무한정 분열하는 특성 때문에 인체에 이식했을 때 암세포가 될 수 있으며,
초기
배아를 만들기 위해 난자 기증이 필수적이어서 난자 채취와 관련한 여러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배아줄기세포의 분화 조절과 통제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난자나 배아를 이용하지 않고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대한 반박도 있었지만, 인공지능 연구에 대한 기대가 시들해진 건 사실이었다. 그 대안이
초기
컴퓨터과학자들이 관심을 뒀던 인공신경망이었다. 인공신경망은 뇌의 구조와 기능을 단순화된 형태로 구현한 모델이다.그런데 그동안 발달한 생물학 지식은 뉴런이 인공신경망의 소자와는 비교할 수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지만 장수는 커녕 패혈증을 보이는 환자가 속출했다. 에두아르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초기
에 나타난 효과를 보지 못하고 5년 뒤 죽었다. 현재 그의 실험 결과는 플라시보 효과로 추측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을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치면 윈도 같은 OS가 있어야 한다. 로보랩은 ROS와 OPROS라는 두 가지 OS가 있다. ROS는 구글
초기
멤버들이 만든 미국 기업인 윌로개라지가 만들어 배포했다. OPROS는 우리나라 정부를 중심으로 과학자와 연구기관, 로봇기업들이 개발하고 있다.이제 로보랩을 이용해 간단한 서비스 로봇을 만들어 보자.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혜성이 대단히 잘 붕괴한다는 사실(연약함)이 제기됐다.혜성은 태양계가 만들어지던
초기
에 먼지와 얼음이 가볍게 뭉쳐서 만들어진 천체다. 따라서 결합력이 다른 천체에 비해 대단히 약하다. 혜성의 강도는 푹신푹신한 눈 결정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래서 혜성이 여러 개로 갈라지는 현상이 자주 ... ...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초기
에 만족도가 떨어지면 금방 헤어졌습니다. 성장론자보다 훨씬 짧았습니다. 그러나
초기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귀는 기간도 급격히 늘어나 오히려 성장론자보다 사귀는 기간이 길어졌습니다. 헤어질 때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운명론자는 헤어지고 난 뒤에 그 만남이 처음부터 잘못됐었다고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러브조이 학설이 맞는지 검증해 보고 싶어했습니다. 러브조이 학설이 맞다면
초기
인류가 직립 보행의 흔적을 보여야 합니다.그리고 수컷끼리의 경쟁이 약했기 때문에 여자와 남자의 몸집 차이도 적고 송곳니 역시 크지 않았을 거라고 예상했습니다.대표적인 인류 조상으로 거론돼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