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d라이브러리
"
초기
"(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를 구분해 사용자가 어느 메뉴를 눌렀는지(팔의 어느 부위를 눌렀는지) 알 수 있다.
초기
시험에서 스킨풋은 20분간 훈련하면 사용할 수 있었으며, 팔의 5곳에 각기 다른 입력 기능을 부여하자 95%의 정확성을 보였다. 연구진은 “손가락 크기와 복잡한 기능 때문에 모바일 기기가 더 이상 소형화되기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대부분 전자와 양전자를 방출하는데 쓰인다. 결과적으로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는
초기
에너지와 무관하게 급격하게 에너지를 잃어버리고 낮은 에너지를 가진 중성미자가 된다.중성미자가 빛보다 빨리 움직인다면 에너지를 잃어버려 검출기에서는 12.5GeV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중성미자가 관측되기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면역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는 “선천성 면역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초기
방어에 문제가 생기고, 후천성 면역계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선천성 면역계가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정확히 밝혀내지 못해 그의 주장은 매력적인 가설로만 머물러 있었다.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제안한 시간여행이다. 우주끈은 길고 얇은 물체로 우주생성
초기
물질들이 시공간의 구조에서 끈의 모양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시공간의 다른 영역들이 상변이를 겪을 때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 이는 마치 액체가 응고될 때 결정 알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나 ... ...
치아로 호모 에렉투스 이동 경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호모 에렉투스가 진화
초기
에 갈라져 나온 집단임을 암시한다.치오촌 교수는 “보다
초기
의 특징을 지닌 호모 에렉투스가 해안을 따라 적도 지역 아시아로 향하고, 이후 5000km 북쪽으로 또 한 무리의 호모 에렉투스가 진출했다”며 “더 많은 화석과 유전자 정보를 수집해 연구하면 동아시아 인구의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주위의 유기물질을 이용해 살아가는 단순한 생명체였을 거라는 주장이다. 그리고
초기
지구에 유기물질이 풍부하게 존재하려면 대기는 지금처럼 산화성이 아니라 환원성이었다고 가정했다. 산화성 대기, 즉 산소가 풍부한 조건에서는 유기물질이 쉽게 분해되기 때문이다.다윈의 ‘따뜻한 작은 연못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없는 종류로서 흔히 ‘갑주어’라고 부른다. 고생대 캄브리아기 후기와 오르도비스기
초기
에 걸쳐서 해양에 정착했으며 고생대 데본기에는 북미, 유럽의 담수와 해수에 널리 분포했다. 그러다 데본기 이후 모두 사라져 현재는 원구류라고 불리는 입이 둥근 무악어류만이 남아있다. 칠성장어와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우리나라 천문학자가 7명이나 포함돼 있다. 서울대 천문물리학부 임명신 교수팀(
초기
우주연구단) 5명과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의 전영범, 성현일 박사가 그들이다.블랙홀이 별을 잡아먹는 과정을 좀 더 확실히 증명하기 위해 위성의 망원경 뿐 아니라 지상의 여러 망원경들의 관측결과도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발사된 미사일은 소형 마이크로모터를 이용한 측추력기로 방향을 전환한다. 발사
초기
에 미사일의 속도가 느려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선 측추력기가 필요하다. 미사일은 일정 속도 이상이 돼야 공기의 저항에 의해 방향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사된 미사일은 일단 레이더가 준 정보를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발견으로 단숨에 해결됐다. 20세기 현대과학은 여기에서 시작됐다.양자역학은
초기
에 수학적으로는 불완전한 형태로 시작했다. 하지만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발전을 거듭했고, 이를 통해 힘과 물질에 대한 궁극적인 이해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 또 자연계의 모든 원소와 이들의 구조에 대한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