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야 6000살 먹은 물고기라네"과학동아 l2014.03.13
- 8.9%의 사이토크롬b 염기서열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어류종의 경우 통상 염기서열이 4% 이상 차이가 나면 미기록종이나 신종으로 분류된다. 연구팀은 이 어류가 빙하기가 끝난 뒤 해수면이 상승하기 시작한 약 6000년 전쯤 해수와 함께 동굴로 유입돼 지금까지 진화해 온 것으로 추정했다. 송 ... ...
- 원하는 곳만 콕 집어 ‘싹뚝’…유전자가위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4.03.09
- 바로 카스9다. 그리고 이들 염기쌍 중에서 노란색으로 반짝이는 곳이 바로 DNA의 짧은 염기서열인 ‘PAM’이다. 연구팀은 카스9-가이드RNA 복합체가 DNA를 찾기 전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관찰한 결과, DNA의 짧은 염기쌍인 PAM 농도에 따라 가이드RNA와의 결합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 ...
- 바코드 찍듯 암·신종플루 찾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4.03.05
- 쉽게 검출 할 수 있다”며 “바코드 DNA에는 수백~수천 개의 miRNA를 감지할 수 있는 DNA 염기서열이 집약될 수 있어 신종플루나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박테리아의 조기진단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 달 26일 ... ...
- 남아가 여아보다 자폐증이 많은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4.03.02
- 남성에게서 더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크문트 교수는 “분자수준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남아와 여아의 발달 차이를 알아낸 최초의 연구결과”라며 “여성에게 발달장애를 막는 보호기작이 있다는 학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 ...
- 1년 내 유행할 독감 바이러스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03.02
- 게재했다. 연구진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에 붙은 해마글루티닌 단백질의 염기서열 3944개의 유형을 분석했다. 해마글루티닌은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H5N1처럼 인플루엔자 유형을 분류할 때 ‘H’에 해당된다. 또 바이러스 유형이 분기할 때 인체에 해로운 돌연변이와 해롭지 않은 ... ...
- 해면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4.02.25
- 수많은 효소들의 유전자가 확인됐다. - 네이처 제공 저자들은 이들 박테리아의 염기서열이 워낙 독특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존 박테리아 게놈들과 비교한 결과 별도의 문(phylum)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텍토마이크로비아(Tectomicrobia)’라는 새로운 문을 제안했다. ‘숨기다’ 또는 ... ...
- 입 속 세균, 1000년 전과 다를 바 없네동아사이언스 l2014.02.24
- 염기서열을 아주 작은 조각으로 잘라 낸 다음 다시 이어붙이는 방법으로 유전체 서열분석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약 1000년 전에 살았던 고대인의 치석 분석 결과, 현대인의 식생활과 위생 수준이 1000년 전에 비해 확연히 바뀌었음에도, 그 안에 사는 미생물의 종류는 크게 ... ...
- AI 바이러스 200살 밖에 안됐다…변종 가능 높은 젊은 바이러스동아사이언스 l2014.02.17
-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 세계에서 출현한 인플루엔자A 바이러스 8만 여개의 염기서열을 확보해 조사해, 인간, 새, 돼지, 말을 숙주로 삼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거대 계통수를 완성했다. 그 결과, AI라 부르는 특성을 가진 인플루엔자가 계통수에서 새로운 가지로 뻗어 나온 시기는 180 ... ...
- 막걸리와 오키나와 술은 알고보니 '형제'?동아사이언스 l2014.01.28
- 일본, 미국, 네덜란드 등에서 흑·백색 누룩곰팡이를 수집해 형태를 관찰하고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각각의 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한 결과, 수집한 누룩곰팡이를 3종으로 정리했다. 막걸리와 전통소주를 만들 때 쓰는 누룩곰팡이 ‘카와치’와 일본 오키나와 지방의 아와모리 술에 쓰이는 ... ...
- ‘이것’만 있으면 암 유전자 귀신처럼 찾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4.01.28
- 유전자에 대한 반응을 살펴봤다. 그 결과 가이드 RNA 유전자가위가 타깃으로 하는 DNA의 서열을 정확히 찾아 잘라냈다. 김진수 교수는 “가이드 RNA는 실험실에서 누구나 합성할 수 있는 물질이고, 잘린 DNA 조각은 전기를 걸어 크기별로 분리하는 ‘전기영동법’을 이용해 저렴하게 분석할 수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