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스페셜
"
서열
"(으)로 총 42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생성형AI로 만든 '자연계 없는 단백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 생성된 형광 단백질 변이체는 기존 형광 단백질과 단백질
서열
일치도가 58%에 불과하면서도 강한 형광 발현 기능을 유지했다. 연구팀은 "5억 년의 단백질 진화를 시뮬레이션하는 작업과 동등한 수준의 작업이었다"고 말했다. 학계는 ESM3를 활용하면 치료제 뿐만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냉혹한 자연의 세계에서 무리의 수컷 우두머리는 어느 순간 젊고 힘센 수컷에게
서열
경쟁에서 밀려나 짝짓기 기회를 잃는 것은 물론 무리에게 쫓겨나기도 한다. 이런 일이 아니더라도 자연계에서는 사고나 질병으로 늙을 때까지 살아남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게 우리의 통념이다. 논문에 따르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
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DNA 합성, 유전체 공학 발전과 더불어 Evo 같은 대규모 염기
서열
모델이 더욱 발전하면 생명체 설계 능력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ence.ado933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관한 비밀이 풀릴 수 있다"며 "앞으로 10년간 과학자들은 고대 및 현대 야생쥐의 게놈
서열
을 밝혀내 쥐에 관한 이해를 크게 향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펠리시아 키싱 미국 바드칼리지 교수와 리차드 S. 오스트펠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사이언스에 설치류의 12%만 병원균을 인간에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
2024.09.19
연구에 뛰어들어 1989년 마침내 성공했다. 책에 이 얘기가 나온 건 텔로머라제가 DNA 반복
서열
을 만드는 주형(template)으로 RNA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텔로머라제 규명은 리보자임만큼 놀라운 성과는 아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중요성이 인정돼 20년이 지난 2009년 세 사람은 노벨생리의학상을 ... ...
[의학바이오게시판] 뉴아인, ‘2024 메디테크 이노베이션 어워즈’ 수상 쾌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낭종 감염’ 등의 질병을 대상으로 한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차별화된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NGS) 기술력으로 병원균 판별·항생제 감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대병원은 이러한 정보가 실질적으로 유용한지에 대해 분석한다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멸종위기 동물 특별전 내달까지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크기의 소포체(세포 소기관)다. 연구팀은 변형되지 않은 엑소좀을 검출하고 특정 DNA
서열
의 양을 추정하는 '정량 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세포에서 분리된 엑소좀이 가진 미토콘드리아 양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세포외소포지'에 지난달 17일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랙스달과 다스의 노력으로 무렐라의 완전한 게놈
서열
이 밝혀졌다"며 "무렐라의 DNA
서열
을 아는 건 내 오랜 소망이었다"고 썼다. 2008년 학술지 '환경미생물학'에 발표된 논문으로 제자들이 스승인 융달도 저자로 이름을 올려줬다. 무렐라 써모아세티쿰의 게놈 크기는 약 260만 염기이고 단백질 지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놀라운 성과 덕분에 가능한 연구 결과다. 신장암 환자의 암세포와 정상 세포의 염기
서열
을 비교해 암세포와 관련한 주요 변이를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염기 하나 또는 두 개가 바뀐 치환 시그너처가 71개, 짧은 DNA 가닥이 끼어 들어갔거나 빠져나간 인델(indel) 시그너처가 18개다. 여기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질환이 없는 사람과 신경퇴행성 장애 등이 있는 환자의 뇌 전두피질 단일세포 염기
서열
을 모아 분석한 연구다. 388명의 뇌를 기반으로 상세한 유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뇌 질환과 유전적 요소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예브게이냐 누시노비치 사이언스 수석 편집자는 "컨소시엄의 방대한 데이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