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스페셜
"
서열
"(으)로 총 4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2개가 됐고 각각 옥시토신 계열과 바소프레신 계열로 진화한 것이다. 유전자 염기
서열
을 비교한 결과 포유류를 제외한 척추동물이 지닌 바소프레신 계열 분자인 바소토신(vasotocin)이 척추동물 노나펩타이드의 기원으로 밝혀졌다. 초기 척추동물에서 유전자 중복으로 바소토신 유전자가 두 개가 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결과 원종양유전자가 종양유전자로 바뀌며 결국 암세포가 된 것이다. 두 유전자는 염기
서열
이 꽤 비슷하고 그 뒤 발견된 NRAS(엔라스) 유전자와 함께 RAS(라스) 유전자로 불린다. 세포막 안쪽에 붙어있는 라스 단백질은 세포 성장과 분열 신호 경로에서 스위치 역할을 한다. 평소에는 꺼진(off) 상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아시네토박터에만 효과가 있는 이유는 인식하는 단백질 부위가 아시네토박터에 고유한
서열
을 지녔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병원에서 감염된 환자에서 채취한 CRAB 시료 100여 개를 대상으로 약효를 시험했고 대부분 큰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하나에서 효과가 미미했고 분석 결과 단백질 사다리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유류 최초' 생쥐의 뇌세포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이뤄져야한다. 홍쿠이 쩡 앨런 뇌과학연구소 연구팀은 약 400만 개의 세포의 RNA 염기
서열
을 분석하고 이를 약 430만 개 세포에 대한 공간 전사체 데이터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해상도 지도를 구성했다. 연구팀이 구성한 지도에 따르면 생쥐의 뇌 세포는 총 4개의 계층적 구조로 이뤄졌다. 34개의 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물질에 너무 치우쳐 있었기 때문이라고 봤다. ‘생명의 정보는 게놈, 즉 DNA염기
서열
에 담겨 있으므로 해독된 것 아닌가’라고 생각할 독자도 있겠지만 앞서 인공생명체에서 언급했듯이 게놈의 정보만으로는 부족하다. 세포가 어느 수준 이상 손상되면(즉 구조정보를 잃으면) 아무리 게놈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배웠다. 모네라(원핵생물), 원생생물, 식물, 균류, 동물이다. 그런데 분류학에 생체분자
서열
비교 데이터를 적용하자 원생생물이 단세포 진핵세포라는 공통점만 있을 뿐 한 범주로 묶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성이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흔히 오감이라고 부르는 감각도 비슷한 상황이다. 시각,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이미 존재하는 DNA에서 RNA 또는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DNA 염기
서열
변화만큼이나 형질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다가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세포 분열 과정에도 지속될 정도로 안정적이고 오래가며 환경에서 유래한 자극이나 경험에 의해 유동적으로 켜지고 꺼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초기 역사에서 큰 역할을 했다. 영국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는 자신이 개발한 DNA 염기
서열
분석법으로 1977년 첫 게놈을 해독했는데 불과 염기 5386개로 이뤄진 ΦX174로 유전자는 11개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하나의 산물인 단백질E가 용균 과정에 관여한다. ΦX174 입자는 대장균 세포 표면을 인식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이미 밝혔기 때문이다. 이변이 없는 한 삼나무에도 해당 유전자가 있을 것이고 실제 염기
서열
이 거의 비슷한 유전자를 두 개 찾아 각각 ACOS5a와 ACOS5b로 명명했다. 이들 유전자를 표적으로 게놈편집을 해 얻은 개체들을 재배했고 이 가운데 유전자 네 개(2×2, 부계와 모계가 있으므로) 모두가 망가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추측한 메모를 1955년 1월 회원들에게 돌렸다. 개별 아미노산이 결합된 작은 RNA가 염기
서열
정보를 지닌 RNA에 결합해 그 순서대로 아미노산이 연결된다는 것이다. 크릭은 이 RNA를 어뎁터(adaptor)라고 불렀다. 수년 뒤 어뎁터에 해당하는 분자인 tRNA의 존재가 드러나자 학계는 깜짝 놀랐다. 그 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