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수학으로 생생하게 즐긴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같은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사람의 키를 훌쩍 넘는 파도가 무서운 속도로 달려들면 그 규모나 박진감에 나도 모르게 몸을 움츠리게 되고, 불이 붙은 괴물이 주인공을 추격하면 긴장감에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한다. 분명 사람이 만들어낸 가짜인 줄 알면서도 말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컴퓨터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아! 태양계를 완전히 탈출한 탐사선이 있었지!3 태양계 밖의 세상으로생각보다 여행의 규모가 커지는군요. 어쨌든 태양계를 완전히 벗어난 보이저 1호를 만나러 왔습니다. 시속 6만㎞ 속도로 날고 있는 탐사선을 따라잡다가 기절할 것 같아요!성간우주로 나간 최초의 ‘지구산’ 물체2013년 9월, NASA는 ...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고리, 영광, 울진에 있는 다른 원전과 함께 싸고 안전한 전기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지.규모 7.0의 강진에도 버틸 수 있을 정도로 내진설계가 잘 되어 있고, 외부 전원이 없어도 원자로를 식히는 냉각수가 돌도록 만들었어. 후쿠시마 원전 사고 같은 무서운 사고를 걱정하지 않아도 돼,특종이야! ... ...
- 제12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전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하는 글쓰기 대회로, 전국 최대 규모의 참가자를 자랑한답니다. 올해 대회에서는 물 부족, 소행성 충돌, 인권에 관한 세 가지 논제를 다뤘어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많이 참여한 초등부의 경우 논술 부문 580편, 독후감 부문 1741편,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시작과 끝을 궁금해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감히 인간이 감당하기조차 어려운 규모의 우주를 끝없이 관측한 결과 빅뱅이라는 시작을 밝혀냈듯이, 오늘날 암흑에너지를 찾아 헤매는 과학자들이 우주 종말의 비밀을 속 시원히 밝힐지도 모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지배하는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있는 옥상 공원 등으로 이뤄져 있다. 대인원을 대상으로 강연이 가능한 사이언스홀과 소규모 모임이나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다빈치룸 같은 부대 시설도 마련돼 있다.우주는 멀리 있지 않다. 우주를 보고 싶은 마음과 우주를 보는 창만 가까이 있다면 언제든지 접할 수 있다. 어느 날 밤 문득 별이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공연장은 중간 음(500Hz)보다 저음(125Hz)이 0.5초 더 길게 울리도록 설계합니다. 2. ‘3500석 규모의 세계 최고 공연장’은 거짓말공연장이 클수록 음이 오래 지속되지만, 꼭 대형 공연장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음악을 방해하는 요소가 더 다양합니다. 좌석 수가 그 중 하나입니다.사람의 몸은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집중하고 싶어도 5분이 채 안 돼 딴 생각이나 딴짓을 하니 능률이 생길 수 없다. 조금만 규모가 크거나 복잡한 일을 만나면 머릿속이 엉킨 것처럼 돼 제대로 마치지 못하며, 심지어 뭐부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고 얼마나 시간을 들여 어떻게 마쳐야 할지 감도 못 잡는다. 물건을 잃어버리는 건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학생들이 2~3명씩 조를 이루어 1년간 연구한 수학 논문을 발표하는 시간이다. 대회 규모가 커서 아인스가 아닌 학생들도 참여하고, 학교 수학 선생님들과 졸업한 아인스 선배들까지 총 6~7명이 심사를 맡는다. ‘프렉탈을 품은 눈결정 키우기’, ‘수학 기호로만 적는 피아노 악보 만들기’ 등 주로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것이 우주를 가속팽창시키고 있을까. 우주전체에 반중력이 작용하는 걸까, 아니면 거대 규모에서는 중력이 약해지는 걸까. 설마 우주의 최대 수수께끼로 불렸던 암흑에너지가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단 말인가.지구와 은하의 거리를 알려주는 적색편이여기서 우주의 경도 문제인 적색편이가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