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세월호 사건을 보며 함께 고통을 느꼈던 많은 사람들처럼요. PTSD는 예상할 수 없는 대규모의 사고와 재해 속에 사는 우리 현대인에게 일상적인 증상이 돼 버렸어요.PTSD의 사례는 과학적이고 의학적인 지식이 어떻게 새로운 현실 세계를 만들어내는 데 영향을 끼치는가를 드러내죠. 다시 말해 어떻게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때문에 ‘임의 추출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정확도는 높지만, 이번 선거와 같이 규모가 큰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여론조사 기관에서 전체 유권자의 전화번호나 주소를 모두 알 수는 없어요. 그러니 어떻게 그 중에서 표본을 뽑겠습니까? 따라서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는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인공위성에 관심이 생겼지요. 그런데 인공위성 발사는 국가나 기관이 주도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방식으로 진행되더라고요. 그때 전 ‘만약 개인이 인공위성을 발사하면 어떨까’ 하는 호기심이 생겼지요. 그래서 인공위성 발사 회사에 로켓 임대료가 얼마인지 메일로 문의해 봤더니, 약 1억 원 ...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보였다. 숨이 멎는 듯 했다. 마리너계곡이다. 총 길이 4000km, 폭 200km로 태양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협곡이다. 북미대륙 서쪽 끝에서 동쪽 끝까지의 길이와 맞먹는 크기로, 지구의 그랜드캐년은 비교의 대상조차 되지 않는다. 길이가 10분의 1, 깊이는 4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착륙일행을 실은 ... ...
- 김주황의 악당예찬1 - 배터리가 된 인간 일렉트로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스파이더맨의 열렬한 팬 이었지만 일렉트로가 되는 과정에서 뉴욕 전체를 마비 시킨 대규모 정전을 일으키고, 이 정전을 해결하러 나 온 스파이더맨에게 공격을 받고는 배신감을 느낀 나머 지 악당으로 돌아섰다. 이걸 순수하다고 해야할지, 바 보같다고 해야할지….일렉트로는 전기를 이용하는 ... ...
- 카페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효율성도 우수하다.임 교수는 “2011년 일본 원전사고 당시 계측기 전원이 끊겨 피해 규모가 커졌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이런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앞으로 와이파이 존처럼 특정 장소에 접근하면 충전기나 전원 케이블이 없어도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 ...
-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4월 1일 우리나라 충남 태안군에 규모 5.1의 지진이 일어나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진파를 인공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 에마뉘엘 자블로 교수팀은 지진파가 건축물을 통과할 때 파동이 지닌 힘(에너지) ... ...
- 13th 전국 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중.고등부 대상 수상자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과 상금 100만 원을 받는다. 전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에 참가해 글쓰기 실력도 뽐내고 특별한 체험도 챙겨보자.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mini.itamtam.co.kr/essay2014) 참조 ...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첫 원전 사고가 아니야. 1979년 미국 스리마일섬,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에서도 큰 규모의 원전 폭발과 방사능 누출 사고가 일어났지. 체르노빌 20km 반경은 사고로부터 30년이나 지난 지금도 사람이 들어가 살 수 없는 황무지로 남아있어. 심지어 사고 후 처리가 후쿠시마보다 훨씬 빨랐는데도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수학문제를 푸는 것과 같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전기공학자뿐만 아니라 수학자들도 대규모 전력망 시스템에 쓰이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대정전 예방 연구를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비선형시스템* 선형(직선의 방정식)의 형태가 아닌 것으로, 비선형은 복잡계를 나타내는 특성 중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