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1광년이므로, 우리은하의 크기는 더 이상 우리 머릿속에서 상상조차 하기 힘든 거대한 규모라는 걸 알 수 있다.그렇다면 거대한 우리은하를 좀 더 상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올해 3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우리은하의 사진을 모아 만든 360° 파노라마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발령한다. 쓰나미가 오는 것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기 때문이다. 『지진이 발생하면 규모에 따라 일단 쓰나미 주의보를발령한다. 육안으로 쓰나미가 목격됐을 때는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쓰나미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 가지 더. 쓰나미 재난 영화로 인기를 끌었던 해운대처럼 거대한 파도가 ... ...
- PART 1. 당신의 파도는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발가락을 간질이는 그 파도 맞다. 그저 워낙에 거대한 에너지가 한 번에 전달됐기 때문에 규모가 커졌을 뿐이다. 바꿔 말하면 해수욕장에서 우리와 재미있게 놀아주던 파도가 어느 순간 목숨을 위협하는 파도로 바뀔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당신은 바다와 파도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그러나 파도가 사실은 자기 자리에서 위아래로 출렁이는 것처럼 조류 역시 커다란 규모로 보면 바닷물이 제자리로 다시 돌아오는 운동이다. 먼 바다 파도가 육지까지 오면 가장 위험하다 그렇다면 어떤 파도가 가장 위험할까. 가장 ‘위험한’ 파도는 파가 갖는 에너지가 큰 파도다. 좀 더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발전 시설인 조력발전소다.시화호 조력발전소는 현재 존재하는 조력발전소 가운데 최대 규모로, 재생에너지 생산비중이 낮은 편인 한국 입장에서는 소중한 존재다. 그런 시화호 조력발전소가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 지 어느덧 3년이 돼간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는 평이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기수에 선명한 태극기를 보자 가슴이 뭉클해졌다.이렇게 조립된 화성탐사선은 총 650t 규모로 매우 컸다. 탐사선은 모두 5개의 모듈로 구성돼 있었다. 여행 중에는 우주인이 살고 화성에 도착해서는 궤도를 선회하게 될 사령선이 되는 ‘주거 및 지구귀환모듈(100t)’, 화성에 착륙하고 귀환할 때 ...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기호 1 후보 김늑돌 남자라면 늑대답게!자기소개고고한 한 마리의 늑대입니다. 소규모 무리를 이끄는 데 능숙하지요. 특히 여학생을 대할 때의 친절한 태도가 인기 비결입니다. 그 때의 경험을 살려 우리 반도 잘 꾸려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공약➊ 여학생을 소중히 여기겠습니다.➋ 반 전체의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인터넷 스포츠 내기는 2012년을 기준으로 거래 금액이 무려 7조 6000억 원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게다가 다른 도박과 달리 스포츠 내기는 돈을 따기 위해 종종 경기의 승부까지 조작한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이 더욱 심각하다.도박으로 돈을 벌 확률은 0%?나와 페르마, 호이겐스가 이미 35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전세계인들이 열광하는 스포츠 축제로, 한 가지 종목으로 이뤄진 세계 대회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열린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로 84년째다. 지난 80여 년에 걸쳐 월드컵 대회는 무려 19회나 열렸고, 이를 통해 많은 기록들을 남기게 되었다. 특히 2014년 월드컵 개최국인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세월호 사건을 보며 함께 고통을 느꼈던 많은 사람들처럼요. PTSD는 예상할 수 없는 대규모의 사고와 재해 속에 사는 우리 현대인에게 일상적인 증상이 돼 버렸어요.PTSD의 사례는 과학적이고 의학적인 지식이 어떻게 새로운 현실 세계를 만들어내는 데 영향을 끼치는가를 드러내죠. 다시 말해 어떻게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