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로썸은 파이선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언어로 만들기 위해, 코드의 구조나 규모를 최대한 간단하게 쓰려고 노력했다. 파이선은 전체를 한꺼번에 들여다보며 코딩을 이어가는 C언어나 C++언어와 달리, 각각의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코드를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류를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곳이야. 기니의 열대우림은 최근 몇 년 사이에 5분의 1 이하로 줄었지. 이 자리에는 대규모 코코아 농장이 들어섰어. 시에라리온의 밀림은 국제단체에서 ‘심각하게 초토화된(seriously threatened)’ 상태라고 경고할 정도야**. 아프리카 사람들 너무한다고? 글쎄. 오랜 내전으로 황폐화된 나라를 ...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성공을 거뒀다. 시작한 지 6년도 안 된 시점이었다. 스페이스X는 곧바로 NASA와 16억 달러 규모의 화물수송 계약을 맺었고, 2012년엔 첫 수송에도 성공했다.버진갤럭틱의 리처드 브랜슨 회장은 머스크보다 훨씬 전부터 우주관광을 꿈꿨다. 그는 어린 시절이던 1969년 TV에서 본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 ...
- 미국, 새로운 핵융합에 투자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미국에너지부(DOE)는 보통 재정 지원 프로그램으로 3년 동안 300만 달러(한화 약 30억 원) 규모의 연구 과제를 10개 정도씩 선정해 왔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토카막(도넛 모양의 장치로, 이 안에서 플라스마를 이용해 핵융합을 한다)이나 레이저를 이용한 기존의 방식 외에, 새로운 방식을 연구하는 ...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패스, 슈팅을 하는 진짜 ‘로봇 축구’로 발전했다. 이런 로봇들의 축구 대전 중 가장 규모가 크고 권위 있는 대회가 ‘로보컵’이다.로보컵은 1997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세계 각국에서 열리고 있다. 비슷한 대회로 ‘피라컵(FiraCup)’이 있지만 인지도는 로보컵이 더 ... ...
- 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특징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는 세계 100여개 국 5000여 명의 수학자가 등록해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번 대회만의 특징으로는 가장 먼저 높아진 여성의 위상을 들 수 있다. 1897년 제1회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참가한 수학자의 수는 208명이었는데, 그 중 여성 수학자는 4명에 불과했다.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1광년이므로, 우리은하의 크기는 더 이상 우리 머릿속에서 상상조차 하기 힘든 거대한 규모라는 걸 알 수 있다.그렇다면 거대한 우리은하를 좀 더 상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올해 3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우리은하의 사진을 모아 만든 360° 파노라마 ... ...
- Intro 세계수학자대회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적 업적들을 소개하고 각종 상을 시상하는 자리다. 기초과학분야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대회로, 다양한 수학 분야에 관한 토론과 강연이 열리는 수학자들의 축제이기도 하다. 이렇게 뜻깊은 대회가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만큼 제대로 알고 함께 즐겨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큰 변화가 닥쳤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반면 페름기 말 대멸종은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 화산분출로 기후가 온난해지고, 대륙들이 모여 판게아라는 초대륙이 만들어지면서 해양 생물이 살기 좋은 대륙붕의 면적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두 번의 대멸종을 견뎌 온 삼엽충에게도 페름기 말 ...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런던대의 유행병학자 마이클 마못 교수의 결론은 조금 달랐다.공무원의 건강에는 부의 규모보다 사회적 지위(격차)가 더 중요했다는 것이다(마못 교수의 연구는 정부 건물이 모여 있는 거리의 이름을 따 ‘화이트홀 연구’라고 불린다).마못 교수팀이 40~64세의 런던 공무원 1만7000명을 10년 동안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