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성형수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비슷한 질감의 액상 실리콘이 담긴 것을 사용했다. 그러나 액상 실리콘이 체내에서
면역
성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은 후 현재는 생리 식염수를 채운 실리콘 주머니를 사용한다. 또 근래에는 질감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주머니에 점도가 높은 다당류를 채운 보형물이 사용되기도 ... ...
4. 신세대 백신 등장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밝혀졌다. 이런 현상들로 미루어 볼 때 앞으로 개발될 에이즈백신은 무엇보다도 점막
면역
을 잘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어떤 연구자들은 에이즈의 전파를 막을 백신은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백신 개발의 실제적인 목표는 바이러스 감염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 ...
4. 인간을 닮으려는 바이오 소재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것은 크기가 작아진다는 의미다. 이것은 단량체가 보다 쉽게 몸속을 돌아다니면서
면역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백혈구는 덩치가 큰 중합체에서는 반응하지 않지만 작은 단량체는 이물질로 인식해 먹어버리는 것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예전에는 협심증 환자의 경우 ... ...
TV속의 초능력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때문에 문제가 된다. 그런 능력과 힘이 존재하고, 심지어 그 힘에 의해서 시험관 안에 든
면역
세포가 증가하고, 온갖 병을 치료한다고 까지 말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같은 일이 18세기 프랑스에서도 일어났다.파리에 진료실을 차린 오스트리아 의사 프란츠 메스머가 사람 몸에 들어 ... ...
병이 병을 부르는 합병증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병을 낳는다.’ 몸에 어떤 질환이 생기면 또다른 병에 걸리기 쉽다는게 상식이다. 환자의
면역
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다른 병균의 침투가 훨씬 용이해지는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 몸의 결함이 오히려 몸에 이롭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빈혈증의 사례를 살펴보자. 빈혈이 발생하는 한가지 원인은 ... ...
포항공대 에이즈백신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백신을 접종한 원숭이 2마리에서 4주-20주 후 에이즈바이러스가 모두 제거됐다. 원래
면역
세포(방어용 백신)를 만드는데 역점을 두었던 연구인데, 뜻밖의 치료제까지 개발하게 된 셈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현재 세계적으로 약 3천4백만명의 에이즈 감염자가 존재하며, 매년 30%씩 그 수가 ... ...
카텝신C 부족하면 잇몸질환 발생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효소의 결핍을 가져온다고 결론지었다.카텝신C 효소가 부족하면 각종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체계가 무너져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들이 신속히 파괴된다. 노인들이 잇몸질환을 자주 앓는 것도 카텝신C 효소를 생산해낼 능력을 점차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효소생산이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때문에 여러 연구와 의학실험용으로 희생된다. 때로 이들은 사람에게 치명적인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을 연구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균에 감염되기도 한다. 멸종되어 가는 동물들을 희생시켜 가뜩이나 많은 사람이란 ‘종’을 더욱 더 포화상태로 이끌어가는 것은 합리적인 일일까.동물원에서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못하도록 막아준다. 여기다 몸속으로 나쁜 균이 침입했을 때 우리의 몸을 방어해주는
면역
성까지 갖추도록 도와준다.2. 똥냄새의 정체는? - 장내 새균이 만드는 스카톨과 인돌대변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것이 냄새다. 냄새의 주인공은 장내 세균이 음식물을 소화시키면서 만들어 내는 스카톨과 인돌.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 위험성 때문에 수천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임상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반드시 백신의
면역
반응을 증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백신 연구자들은 사용중인 기존의 백신도 임상시험 전에 증명된 적이 없으며, 오직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서만 백신의 효력이 증명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