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존율 낮은 췌장암, 치료 효과 높일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했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G12V를 발현하는 췌장암 환자군의
면역
세포가 더 활발하게 분포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활용해 차별화된 치료 전략을 적용하면 췌장암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췌장암은 ... ...
간부전 환자 위한 돼지 간 이종이식, 첫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이종이식의 최대 난관인
면역
거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유전자 교정 기술을 활용해 인간
면역
체계가 돼지 장기를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들었다. 웨인 호손 호주 시드니대 이식외과 교수는 이번 임상시험에 대해 “수십 년간 이어져온 이종이식 연구의 결실”이라며 “현재 인간 간 이식을 받지 못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암을 정복하기가 어려운 또 하나의 이유인 셈이다. 암세포는
면역
회피의 전략으로
면역
세포와 미토콘드리아를 주고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자신의 부실한 미토콘드리아(빨간색)를 소포에 실어 T세포로 보내고 T세포의 정상 미토콘드리아(파란색)를 나노튜브를 통해 받아들여 대사 활력을 ... ...
차세대
면역
항암제로 자가
면역
질환 완치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난치성 환자의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지현 교수는 "최근
면역
억제제 사용으로 루푸스 환자의 10년 생존율이 90~95%까지 보고되고 있지만 일부 환자는 폐, 심장, 신장, 뇌와 같은 주요 장기에 루푸스가 침범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며 "이번 임상을 시작으로 기존 약제에 ... ...
3D 유사장기로 두경부암 원인 돌연변이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낮추는 기전을 동물 모델로 규명함으로써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 생존율을 높이고 새로운
면역
기반 치료제 개발에 단초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 doi.org/10.1084/jem.20240758 3차원(3D) 두경부 전암 오가노이드(인공장기) 모델을 ... ...
암세포 돕는 나쁜 세포 공격하는
면역
항암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정밀
면역
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면역
치료학술지’ 4월호에 게재됐다. doi.org/10.1136/jitc-2024-011422 배현수 경희대 한의학대학 교수(왼쪽)와 강성호 응용화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양자컴으로도 해독 어려운 양자내성암호, 국내 시범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전환은 새로운 기술의 역기능으로부터도 정보통신 인프라를 굳건하게 지켜낼 수 있는
면역
체계를 갖추는 것"이라며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해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美 여성, 이식된 돼지 신장 130일 만에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유전자 교정 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미국의 50대 여성이 이식 130일 만에 신장을 제거했다. 신장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전자 교정 ... 표면의 당 분자를 제거하거나 바이러스 잔재물 제거 유전자를 교정하는 방식 등을 통해
면역
반응을 제어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 ...
봄철 골칫덩이 알레르기 질환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이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기본적으로 평생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라며 "
면역
요법이나 생물학적 제제 등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질환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요한 것은 환자 개인별 맞춤형 치료와 꾸준한 관리라는 것이다.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한 적절한 진단 및 ... ...
[표지로 읽는 과학] 감귤나무 떼죽음 원인 ‘황룡병’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PUB21 단백질의 활성도가 높아질수록 MYC2는 더 많이 파괴돼
면역
반응이 더욱 억제됐다. 연구팀은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PUB21 단백질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부위와 MYC2 단백질의 결합 부위가 황룡병 저항성의 핵심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PUB21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