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꾸릴 수도 있다. 실제로 뉴욕에서는 예술가들이 자그마한 실험실을 만들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조작해 바이오아트를 하기도 한다. 대신 장비 구입비용은 두 배로 껑충 뛰고, 필요한 공간도 두 배 이상으로 는다. 박테리아를 기를 때 풍기는 X냄새같은 고약한 냄새는 덤이다. 자세한 가격은 다음 ...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났다.새로운 곳에 둥지를 튼 지 4년, 남 펠로우는 준비를 끝냈다. 식물을 기르는 것부터 유전자를 분석하는 것까지 모든 과정을 한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실험실을 갖췄고, 숙원이던 동물과 식물의 노화를 비교할 수 있는 연구팀도 꾸렸다.“막 연구를 시작하는 기분입니다. 지금까지는 일종의 연습 ... ...
- [과학뉴스] 모기에 놀란 백혈구가 바이러스 키운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증식했다. 연구팀은 염증반응으로 모인 백혈구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바이러스 유전자를 복제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염증반응이 없는 부위에서는 바이러스 증식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맥킴미 교수는 “모기에 물렸을 때 염증반응을 억제해 백혈구 수를 조절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될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를 뒷받침하고자 해밀턴의 규칙에 나오는 세 변수인 r, b, c를 야외에서 측정했다. 분자유전학 기법을 동원한 결과, 한 팀 내에서 수컷들 간의 평균 근연도는 0.42였다. 열위 수컷이 이타적 행동으로 감수하는 손실을 측정하고자, 팀에 참여하는 열위 수컷의 자식 수(0)와 혼자서 암컷을 유혹하는 ... ...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유전자 전사체(mR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성체 간상세포에서 원추세포의 특성을 보이는 유전자의 흔적을 발견했다. 이는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각각 다른 망막 기원 세포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학설을 뒤집는 결과다.이런 특징은 포유동물(생쥐)에서만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백악기 말 ... ...
-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쥐 세포에서 자가포식이 발생하는 과정에 어떤 후성유전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히스톤 단백질의 메틸화를 담당하는 ‘CARM1’ 단백질이 자가포식 작용 동안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CARM1 단백질이 없으면 자가포식에 문제가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었다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이전에 들어온 세균 유전자는 다른 세균으로부터 수평적 유전자 변이를 통해 전달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복잡한 논의를 거쳤지만 우리의 질문은 여전히 제자리다. 왜, 무엇이, 어떤 특징이 진핵생물을 고등생명체로 진화시켰고 다른 생명의 왕국은 그렇지 못했는가.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들 중 대다수는 얼음이 어는 데 도움을 주는 단백질(INA, Ice Nucleation Active protein) 유전자를 가진 슈도모나스 속의 박테리아였다.INA는 그람음성균, 예컨대 슈도모나스 속, 산토모나스 속의 박테리아 외막에 붙어있는 단백질로, 영하 5°C에서도 물이 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리가 접하는 물은 먼지나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을 감염시키는 병원체는 크게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둘 모두 유전 물질인 DNA(혹은 RNA)를 가지고 있죠. 하지만 균은 독자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는 생명체고,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으면 물질대사를 전혀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큽니다. 바이러스의 숙주는 균일 수도 있고, ... ...
- [과학뉴스] 엄마를 두 번 울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병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것으로 교체하는 방법이었다.하지만 최근에는 이렇게 태어난 ‘세 부모 아이’조차도 유전병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또 한 번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